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미국 유력 매체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WSJ는 20일(현지시각) '차트 1위를 차지한 가장 큰 K팝 밴드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제목의 기사로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글로벌 신드롬을 대대적으로 조명했다. 여기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가상 아이돌 밴드들은 인간들이 결코 달성하지 못한 경지에 도달했다'라는 부제목을 달았다.
매체는 "이 영화에 실린 두 곡은 미국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곡 1위를 차지했다. 이는 방탄소년단(BTS), 블랙핑크 등을 비롯한 어떤 K팝 그룹도 현실이든 상상이든 달성하지 못한 기록"이라며 "미국에선 허구의 밴드들이 인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인기를 얻고 있다"라고 놀라운 성과를 짚었다.
이어 "사람들에게 팬아트, 수제 봉제 인형, 그리고 주인공들의 코스프레 등 다양한 영감을 불러일으켰다. 방탄소년단 등 실제 K팝 스타들도 이 영화를 극찬했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WSJ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제작진과의 인터뷰도 실었다. 총괄 음악 프로듀서인 이언 아이젠드라스는 "이 영화가 K팝의 미학과 사운드를 융합하여 '모든 팬'에게 경의를 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라고 밝혔다.
더불어 WSJ는 K팝 관련 책을 쓴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김석영 교수의 인터뷰도 담았다. 김 교수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성공은 팬들이 비인간 아이돌과 소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라며 "이 영화는 모방 아이돌들을 양산할 가능성이 높다. 이것은 K팝 기업들의 오랜 꿈일 거다. 잠도 자지 않고, 아프지도 않고, 늙지도 않는 아이돌들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도 매체는 "하지만 인간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라며 K팝 프로듀서 겸 작곡가이자 AI 가수와도 작업한 베니 차의 발언에 주목했다. 베니 차는 "진짜 아티스트들이 보여주는 취약성, 케미, 그리고 예측 불가능성은 (가상 아이돌 밴드가) 만들어낼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