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하찮은형' '건방진도사'..캐릭터는 채널을 넘어

'하찮은형' '건방진도사'..캐릭터는 채널을 넘어

발행 :

전형화 기자
사진


바야흐로 리얼이 대세다. 예능 프로그램은 지상파와 케이블을 막론하고 리얼을 표방한 버라이어티가 꽉 틀어쥐고 있다. '무한도전'을 시작으로 불이 붙기 시작한 리얼 버라이어티의 생명은 뭐니뭐니해도 캐릭터이다.


출연진 하나하나가 확고한 캐릭터를 가질 때 비로소 탄력이 붙는다.


최근 예능계에 떠오르는 태양인 '1박2일'은 초반 어수선함이 정리되는 가운데 '은초딩' '허당승기' 등 캐릭터가 완성되면서 인기가 불붙기 시작했다. SBS '라인업'이 태안 효과에도 불구하고 불이 붙지 못하는 것은 그 프로그램만의 출연진 캐릭터가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렇게 형성된 캐릭터는 한가지 공통점이 있다.


바로 채널을 넘나들며 그 캐릭터를 고수한다는 점이다. MBC '무한도전'의 '유반장' 유재석과 '하찮은 형' 박명수 콤비는 KBS 2TV '해피투게더'에서도 동일한 캐릭터를 유지하며 인기를 얻고 있다.


MBC '무릎팍도사'의 '건방진 도사' 유세윤은 KBS 2TV '상상플러스'에서도 여전히 건방지다.


'1박2일'의 '은초딩' 은지원은 '놀러와'에서도 은초딩 캐릭터를 유지하고 있으며, '식신' 정준하는 MBC 드라마넷에서 아예 캐릭터를 앞세워 '식신원정대'를 진행하고 있다.


시청자 입장에서는 익숙해진 캐릭터가 무한반복되는 게 아직은 식상하다기보다는 즐겁다는 반응이다. 예컨데 '무한도전'이 다른 채널에서 계속 방영되는 것과 마찬가지 효과를 낳기 때문이며, '1박2일'을 두고두고 즐길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이런 캐릭터의 무한반복은 양날의 검이기도 하다.


지금이야 리얼이 대세이지만 예능의 파고가 어느순간 다른 곳으로 넘어갈지도 모른다. 그 때도 자기발전이 그 캐릭터만 유지하고 있다면 함정에 빠지게 된다.


만년 2인자 캐릭터인 박명수가 '지피지기' 메인MC에 도전했을 때 시청자들이 색안경을 끼고 보는 것도 캐릭터의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이다. 은초딩으로 명명된 은지원이 멋들어지게 노래를 부를 때 웃음이 터져나온다면 오히려 피해가 된다. 하하가 가수로서 인기를 얻은 것은 '무한도전' 캐릭터를 그대로 가져왔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한 방송 관계자는 "유재석과 강호동, 신동엽 등 A급 MC들은 이미 여러번 캐릭터의 변화를 거쳐서 발전했기에 지금의 위치를 차지한 것"이라며 "현재 고정화된 캐릭터들도 자기 발전을 해야 더욱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기사

    연예-방송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방송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