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S가 지난 9일 오후 방송된 '대통령과의 대화' 방송과정에서 국토부에 1년여간 파견근무를 한 바 있는 SH공사 직원 장모씨를 자영업자로 소개해 논란이 일고 있는 것과 관련 기자회견을 통해 입장을 밝혔다.
KBS는 11일 오후 4시 서울 여의도 KBS 신관 국제회의실에서 자막오기에 관한 해명기자회견을 통해 시청자를 비롯한 당사자에 대한 사과의 뜻을 밝혔다.
KBS는 "자막 작업은 지난 5일 오후 미디어리서치에서 보내온 국민패널 명단을 기초로 국민패널의 자막을 뽑는 과정에서 담당자 김찬태 PD의 실수로 빚어진 방송 사고다"고 밝혔다.
장씨의 직업이 '화이트칼라', 직장명이 '회사원(부동산개발 공기업)'으로 되어 있었는데 담당자의 실수로 장씨 이후 출연하는 패널의 직업을 장씨의 직업으로 혼돈해 이 같은 일이 발생됐다는 설명이다.
즉 장씨는 자신의 직업란에 '회사원'(부동산개발 공기업)이라고 적었지만, 국민패널을 뽑는 과정에서 장씨 이후 출연하는 패널의 직업란에 적혀 있는 자영업(양복점)이라는 직업을, 장씨의 직업으로 착각하면서 벌어진 일이라고 부연했다.
프로그램을 대표해 이 자리에 참석한 이세강 시사보도팀장은 "다른 어느 프로그램보다도 모든 면에서 더 정확성을 기해야 하는 보도 프로그램에서 이중 삼중의 사전 점검을 하지 못해 자막의 정확성에 흠결이 생겨 결과적으로 시청자는 물론 당사자 장 씨에게 심려를 끼쳐 드린 점에 대해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 시사보도팀장은 이 자리에서 항간에 제기된 정치적 외압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이 프로그램은 국민과의 대화다. 즉 주인은 국민이라는 취지다"고 설명하며 "대통령을 불러서 국민이 말을 하자는 취지다"고 밝혔다.
이어 "이 프로그램은 발상의 전환이었다. 이 자리를 빌어서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그간의 잘못을 반성하고 앞으로 방향에 대한 제시를 바라는 시각으로 마련된 프로그램이다"고 부연했다.
또한 이 팀장은 "적어도 출연한 시청자의 입장에서 접근해야겠다는 기획의도에서 접근했다. 그 기획의도가 발휘됐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적어도 기획의도와 준비과정의 노력만큼은 스스로 평가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이세강 팀장은 이 자리에서 "청와대측에서 장미란 선수의 패널 출연을 권유하기도 했으나 취지에 맞지 않아 제작진에서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밝히며 간접적으로 외압설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한편 '대통령과의 대화'는 장 씨의 직업 오기로 인해 방송이후 국토부의 개입설 등의 논란을 야기 시켰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