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미션찾기, 싱어테이너, 불황탈출..2009연예 가상기상도

미션찾기, 싱어테이너, 불황탈출..2009연예 가상기상도

발행 :

전형화 기자
사진


연예계에 유달리 악재가 많았던 2008년이 저물어 간다. 최진실의 죽음으로 대표되는 연예인들의 비보에 방송, 영화, 가요 등 연예계 전반에 걸친 거품이 한순간에 꺼진 2008년이었다.


2009년 연예계에는 과연 어떤 일이 있을지, 방송 가요 영화로 나눠 2009년 연예 가상 기상도를 점친다.


#방송: 예능 리얼이 대세! 드라마 거품의 절정?


2008년 방송 예능은 온통 리얼 버라이어티로 점철됐다. '무한도전'으로 촉발된 리얼 열풍은 '1박2일'과 '패밀리가 떴다'로 이어져 방송의 한 장르로 정착됐다. 리얼 버라이어티 열풍은 특정 프로그램 포맷 이상으로 예능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세바퀴'처럼 퀴즈도 리얼, '우리 결혼했어요'처럼 연애도 리얼이 대세였다. 전통파는 발을 붙일 수 있는 자리를 잃고 말았다. 2009년에도 이런 리얼 대세 열풍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리얼의 대세란 곧 예능 프로그램의 캐릭터화를 뜻한다. 각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인물들의 캐릭터화가 더욱 두각을 들어낼 것이다. 캐릭터화는 이미 각 프로그램에서 진행 중이다. 비단 리얼 버라이어티 외에 '해피투게더' '골드미스가 간다' 등에서 출연진의 캐릭터화는 곧 프로그램의 성공으로 이어지고 있다.


다만 캐릭터로 승부하는 리얼 버라이어티는 필연적으로 익숙함과 진부함을 동시에 갖기 때문에 캐릭터에 새로운 요소, 즉 승부 또는 새로운 인물을 투입하는 프로그램이 2009년 새로운 트렌드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 '패밀리가 떴다'가 '1박2일' 형식에 매회 새로운 인물을 투입, 성공한 것처럼 미션 프로그램이 대세가 될 전망이다.


때문에 늘 새로운 미션을 찾는 '무한도전' 천하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출연진의 캐릭터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기존 이미지가 정착된 MC군들은 도태될 가능성이 크다. 김제동 탁재훈 등이 최근 밀리는 까닭 역시 이 때문이다.


드라마는 해외 촬영, 톱스타 출연 등으로 누적된 거품이 절정을 이룰 것으로 예측된다. 지상파 3사가 배우들의 출연료 상한선 등을 통해 거품 해소를 외치고 있지만 이미 내년 상반기 편성이 확정된 드라마는 거품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특히 지상파가 VOD 서비스, 해외판권, 케이블 및 IPTV 재전송 등에서 자신들의 몫을 외주 제작사에 양보하지 않은 상태이기에 어려움은 더욱 지속될 전망이다.


내년 방송을 앞둔 사극 열풍도 위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사극은 일정한 시청률은 보장하는 대신 광고협찬을 쉽게 할 수 없다. 해외 판권 및 지자체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한류 침체와 경기 악화로 이 또한 쉽지 않을 전망이다.


때문에 드라마쪽은 지상파 3사의 양보와 외주 제작사들의 개혁으로 인한 산업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최악의 한 해를 보낼 가능성이 크다. 개정을 앞둔 방송법은 어떤 식으로든 방송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사진

#가요: 아이돌 대세와 해외 활동 주력


2008년 가요계는 별들의 전쟁이었다. 서태지를 비롯해 신승훈 김건모 등 왕년의 스타와 이효리를 위시로 한 섹시군단, 빅뱅 원더걸스 등 아이돌이 2008년을 뜨겁게 달궜다.


승자는 단연 아이돌이었다. 앨범 판매와 음원 다운로드, 화제성에서 아이돌은 선배들을 제쳤다. 이는 현재 주류 가요 시장을 10대가 완전히 장악했음을 의미한다.


10대가 가장 강력한 대중음악 소비자이긴 하지만 20~30대 등 역시 상당한 부분을 차지했던 음악 시장이 10대 위주로 급격히 재편됐다는 뜻이다. 이런 현상은 음반 시장 붕괴와 디지털 음원 시대가 활짝 열렸기 때문이다.


디지털 다운로드에 적합하도록 노래가 3분에 맞춰서 완성되고 단숨에 절정에 치닫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면서 호흡이 긴 노래를 불렀던 왕년의 스타들은 점차 설 자리를 잃고 있다. 비주얼 시대는 더욱 가속화돼 퍼포먼스 위주 곡들이 대세를 이뤘다. 음악 프로그램조차도 3분에 노래를 맞추길 강요하는 시대가 됐다.


이런 현상은 2009년에도 이어질 것이다. 세븐의 복귀와 소녀시대 컴백 등 아이돌 천하는 계속될 전망이다. 듣는 노래보다 보는 노래 전성시대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다.


가수들의 예능 나들이도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노래를 알리는 것보다 누구인지를 알리고 행사를 뛰기 위해서라도 싱어테이너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 동방신기, SS501 등의 개별 활동처럼 아이돌 그룹의 각계 전투도 뜨거워질 것이다.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한 해외 진출도 2009년에는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이미 미국 활동을 시작한 보아를 비롯해 원더걸스와 빅뱅 역시 내년 해외 활동이 예정된 상태다. 세계적인 경기 침체가 발목을 잡기는 하지만 10대 팬의 호주머니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결코 마르지 않기 때문이다.


사진

#영화: 디지털 다운로드 원년과 긴 불황 터널의 끝


2006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영화계 위기는 내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투자 위축은 여전할 것이며 40여편으로 줄어든 신규 제작 역시 갑작스럽게 늘어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내년에는 한국영화계에 희망적인 요소가 눈에 띈다.


위기 탈출을 위한 각계의 노력이 구체화될 가능성이 크다. 우선 눈에 띄는 콘텐츠가 많다. 박찬욱 감독의 '박쥐'를 비롯해 봉준호 감독의 '마더', 최동훈 감독의 '전우치', 윤제균 감독의 '해운대' 김용화 감독의 '국가대표' 등 유명 감독의 기대작이 상당하다.


또한 '핸드폰' '작전' 등 2008년 상반기를 뜨겁게 달군 '추격자' 신드롬을 재현할 스릴러 역시 관객과 만나길 기대하고 있다. '불꽃처럼 나비처럼' 등 대형 사극도 준비 중이다.


좋은 콘텐츠 외에 시장의 다변화를 위한 노력도 내년에는 일정부분 성과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올해 테스트 형식으로 시작된 영화 합법 다운로드 서비스는 대부분 좋은 평가를 냈다.


'도시락' '멜론'처럼 음원 다운로드 포털이 생긴 것처럼 내년에는 영화 다운로드 포털이 정식으로 출범될 전망이다. 메이저 배급사와 영진위 등이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기에 조만간 정식 출범이 예상된다.


DVD 등 2차 판권 시장 복원은 쉽지 않겠지만 IPTV 서비스가 새로운 수익원이 될지도 내년 판가름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IPTV 서비스가 개별 제작사에 큰 몫이 돌아가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 서비스가 정착되면 대중음악 음원 서비스처럼 제작자에 일정 몫이 돌아갈 공산이 크다. 이를 위해서는 통신사에 절반을 빼앗긴 음악 제작자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수다.


영화계의 숙원 사업 중 하나인 극장 요금 인상도 내년에는 어떤 식으로든 이뤄질 것이다.


영화계 일각에서는 현 영화계 중진을 보수 정권에서 좌파로 보기 때문에 지원에 인색하다는 시각이 있다. 올해 불거진 영진위와 영화계의 갈등은 특정 인물의 영향도 있지만 이런 시각도 바닥에 깔려 있기 때문이었다.


2009년에는 할리우드 대작들이 쏟아진다. 5월부터 8월까지는 한국영화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들의 격전이 예상된다. 2009년이 한국영화 부흥의 해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영화계가 한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키잡이의 역할이 더욱 중요할 전망이다.


주요 기사

    연예-방송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방송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