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금쪽 상담소' 김윤아, '세월호 참사' 후 번아웃 "10년째 음악 왜 하나"

'금쪽 상담소' 김윤아, '세월호 참사' 후 번아웃 "10년째 음악 왜 하나"

발행 :

한해선 기자
/사진=채널A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 방송 캡처
/사진=채널A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 방송 캡처

가수 김윤아가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를 찾아왔다.


7일 방송된 채널A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이하 '금쪽 상담소')에서는 김윤아, 양정원, 양한나가 오은영에게 고민을 털어놨다.


김윤아는 "내가 2014년 정도부터 번아웃이 왔다. 음악을 하는 게 쓸데없다고 생각이 들었다. 그런 상태가 오래되다 보니까 집 안의 작업실에 못 들어가겠더라"라며 "번아웃과 친해지는 방법을 모르겠다"라고 고민을 토로했다.


오은영은 "번아웃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다 써버려서 고갈된 상태다. 의욕이 없고 무기력해진다. 불안과 우울을 동반한다. 그리고 사소한 일에 짜증이 많이 난다. 번아웃 상태가 지속되면 심신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김윤아는 "각종 신경통증이 있었다. 두통은 나의 친구였다. 부비동염에 걸렸는데, 당시 MBC '위대한 탄생'에 참여하고 있었는데 결승전에 참여하지 못했다. 청각이 너무 예민해져서 스피커를 들으면 귀가 떨어질 것 같았다. 준결승이 끝나고 바로 입원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때 이후로 수면장애가 생겼다. 잠에서 15분마다 깼고 머리가 빙빙 돌았다. 갈비뼈 사이가 너무 아프고 위가 일하지 않는 것 같다. 계속 마르고 있다"고 2011년부터 생긴 증상을 밝혔다. 김윤아는 자신의 번아웃을 2014년부터 자각했다고 했다.


번아웃 계기로 김윤아는 "음악에 의미가 없다는 무력감이 왔다. 2014년에 어두웠던 일들이 많아서 사회영향상 많은 분들에게 영향을 받았다. 그때 음악만 하고 있는 게 무슨 소용인가라는 자괴감에 빠졌다"라고 세월호 참사를 간접 언급했다. 그는 "그 사건을 납득하기 어려웠다. 음악과 나를 동일시하며 작업하는데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음악이 누구에게는 무슨 소용이 있을까 생각했다"고 말했다.


한해선 기자 hhs422@mtstarnews.com


주요 기사

연예-방송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방송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