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휜 다리는 무릎 관절염이 더 잘 생긴다.

휜 다리는 무릎 관절염이 더 잘 생긴다.

발행 :

채준 기자
/사진제공=안산에이스병원
/사진제공=안산에이스병원



O다리나 X다리가 관절염에 걸리기 쉽다.


퇴행성관절염은 나이가 들거나 무릎 내에 연골세포의 노화로 인해 무릎뼈를 싸고 있는 뼈 연골이 닳아서 생기는 병이다. 뼈 연골은 어느 정도 닳아도 통증이 없으나 10원짜리 동전 하나 혹은 둘 정도의 두께 정도로 얇기 때문에 벗겨지고 뼈가 노출되면 통증을 느끼게 된다.


무릎 퇴행성 관절염의 유발 요인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하지만 그중에서 다리가 휜 경우에는 관절염이 더 잘 생긴다는 이야기는 사실이다. 이상적인 무릎은 땅에 섰을 때 무게 중심이 무릎 중앙에 위치해 있는 경우다.


무릎은 구조상 안쪽과 바깥쪽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중앙에 전방십자인대와 후방 십자인대가 있다. 따라서 무릎을 반으로 나누어 걸어 다닐 때 무게가 한쪽으로 실리는 경우보다 중앙에 위치하게 되면 양측으로 무게를 나누어져 부담하게 되므로 이론상 어느 한쪽이 먼저 닳지는 않게 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우는 O다리가 많다.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등에 많이 업어서 키우고 좌식생활도 영향을 많이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릎이 바깥으로 휜 경우, 즉 오자 다리는 엉치에서 발목까지 내려오는 무게 중심이 무릎 안쪽으로 더 많이 이동되어 안쪽에 관절염이 발생할 확률이 4배정도 높다.


반대로 무릎이 안쪽으로 휜 경우는 X자 다리라고 하며 보통사람보다 5배정도 더 관절염이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즉 무게 중심이 바깥쪽 관절에 더 치우쳐져 있다. 휜 다리 어린 자녀를 둔 부모님들이 보조기나 신발을 이용하여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는지 많이 궁금해 하는데 수술적 치료 외에 기구를 사용하여 다리를 교정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만약 관절염이 생기면서 다리가 휘어 있거나 혹은 무릎 내에 뼈 사이에 연골판 손상이 있는 경우에 휜 다리 교정술을 시행할 수 있다. 관절염이 생기면 관절연골이 닳아서 더 휘게 되므로 만약 70세 미만에서 관절염이 동반되어 무릎이 휜 경우 약이나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한 후에 무릎 교정이 가능하다. 안쪽이 관절염이 생긴 경우에는 정상적인 바깥쪽 무릎 관절을 이용하여 본인의 관절을 10년이상 더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사진

평소에 관절염 예방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식습관으로 체중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5kg의 체중을 줄이면 관절염의 발생 위험률을 반으로 낮추는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무릎의 근력을 키우는 방법이다. 여성들의 경우 에스트로젠이라는 여성 호르몬으로 인해 근력이 약하기 때문에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쪼그려 앉는 일을 줄여 무릎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운동을 할 때 스트레칭을 충분히 하고 근력운동으로 부상 확률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정재훈 안산 에이스병원 원장은 “만약 20~30대때 십자인대 파열이나 연골판 손상이 생기면 대부분 나이가 들어서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운동을 할 수 있을 때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주요 기사

비즈/라이프-라이프스타일의 인기 급상승 뉴스

비즈/라이프-라이프스타일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