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신승준 척추비법] 척추관협착증은 양방향 내시경

[신승준 척추비법] 척추관협착증은 양방향 내시경

발행 :

채준 기자
/사진제공=안산에이스병원
/사진제공=안산에이스병원

날씨가 따뜻해진 요즘, 건강한 노년들 중 엉덩이와 다리가 저리고 당기는 통증으로 내원하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 중 적지 않은 분들이 허리뼈의 척추관협착증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다.


‘허리뼈의 척추관협착증’은 허리 부분의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인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이 눌리면서 서 있거나 걸으면 허리와 다리에 통증과 저림증상이 생겨 오래 걷거나 서있기 힘든 병이다. 나이가 들면 오랜 세월에 걸쳐 척추관 주변의 관절이나 인대가 점점 자라면서 척추관이 좁아지게 되는데 평소의 자세에 따라 그리고 사람마다 태어날 때의 척추관의 넓고 좁음에 따라 증상이 발생 여부와 시기는 제각기 다르다. 주로 50대 이후에 발병하며 여성이 남성보다 두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한다.


척추관 협착증이 의심되면 CT(컴퓨터 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 검사 등의 정밀검사로 진단되는데, 협착의 정도가 심하지 않고 허리 통증과 경미한 다리 통증만 있는 초기의 경우 약물치료, 물리치료, 신경차단술 등의 비수술적 치료로 증상을 충분히 완화할 수 있으나, 비수술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 호전이 없거나, 다리의 근력 약화, 감각 이상 등의 신경 증상이 점차 악화하여 정상적으로 걷는 것이 어려워지게 되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보행이 어려워 걷는 운동과 야외활동에 제한이 생기면 점차 근육감소와 골다공증의 악화 그리고 노령의 경우 심폐기능 약화로 이어지게 되므로 이를 방치하게 되면 손실이 더 커지게 된다.


수술은 척추 분절의 불안정성이나 척추전방전위증이 심하지 않은 경우, 내시경을 이용한 미세 침습적 감압술이 많이 사용되는 추세로 기존의 절개술 보다 근육의 손상이 적고 실혈량과 통증이 적어 수술 후 회복속도도 빠르며, 수술 중 지속적인 세척으로 수술 후 감염이 생길 가능성도 적다.


하지만 기존의 내시경 수술의 경우 내시경과 수술기구가 삽입되는 입구가 하나만 있어 수술 시야가 좁고 기구의 이동 범위 제한이 있어 수술 결과가 불확실할 수 있어 최근에는 이런 단점을 보완한 ‘양방향 척추 내시경술’이 크게 주목 받고 있다.


사진

양방향 ‘척추내시경술’ 은 7mm 정도의 최소한의 구멍을 통하여 내시경과 수술기구를 각각 삽입하여 고배율로 수술 시야가 확대되어 정밀한 수술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수술 도구를 비교적 제한이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절개술과 같은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며 소요 시간도 30분~1시간 정도로 짧고 근육의 손상이나 실혈량도 많지 않고 회복이 빨라 고령 환자의 척추관협착증이나 추간판 탈출증 수술에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신승준 안산에이스병원 원장은 “수술 후 몸 상태에 맞는 체계적 운동을 통해 척추의 안전성을 회복하기 위해서 바른 자세, 스트레칭, 근력 강화 운동, 바르게 걷기 운동 등 적극적인 재활 운동 치료는 매우 중요한데, 수술의 종류와 병변의 부위와 정도에 따라 수술 후 운동요법이 다르므로 자신의 몸 상태에 맞는 체계적인 운동을 위해 척추 전문의의 적절한 지도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주요 기사

비즈/라이프-라이프스타일의 인기 급상승 뉴스

비즈/라이프-라이프스타일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