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음에는 허리가 아프더니 시간이 지나면서 한쪽 다리가 당기고 저리는 느낌’
이런 증상을 만났을 때 여러 가지 병명이 나올 수 있지만 ‘후관절 낭종’도 의심해야 한다.
척추의 후 관절은 척추의 뒷면에 위치하여 신체 후방의 체중 부하뿐 아니라 위 뼈와 아래 뼈 사이의 제한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관절 주머니로 덮여 있는 관절로서 허리를 앞으로 숙이거나 뒤로 젖힐 때 척추 관절이 안정적인 움직임을 할 수 있게 해주며 몸을 좌우로 비트는 동작을 할 때 과도한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해주는 기능을 한다.
장시간 바르지 못한 자세나 갑작스럽거나 격렬한 운동으로 인해 후 관절의 관절 연골이 손상되거나 두꺼워지는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면서 염증, 미세골절, 관절 주머니의 파열 등으로 통증이 유발되는 후 관절 증후군이 앞서 발생하는데, 병변이 오래되어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면 후관절 주머니에 관절액이 차 부풀면서 신경근이 눌려 다리의 방사통이나 저림증이 수반되는 후관절 낭종이 생길 수 있다. 허리에서부터 엉덩이와 다리로 내려오는 신경을 압박받게 됨으로써 다리의 저림 감, 이상감각, 방사통이 생길 수 있다.
증상이 경미한 경우 휴식을 동반한 약물치료와 물리치료나, 후관절 낭종으로 인한 신경 자극을 차단하기 위한 신경차단술 및 관절낭 흡입 등으로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오래되어 위의 치료로도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나 압박의 정도가 심해 다리의 근력이 떨어지면서 마비 증상이 발생하면 내시경적 혹은 ‘미세침습적 감압술’이나 ‘척추 유합술’ 등 같은 수술적인 치료도 고려해봐야 한다.

따라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노력하고 허리 근육의 강화 운동을 통하여 척추의 안정성을 강화하여 척추의 퇴행성 변화의 진행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승준 안산 에이스병원 원장은 “허리 통증과 수반되는 다리의 통증 및 저린 감이 있는 경우 반드시 척추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