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의 활동을 계속 지원하겠다는 뜻을 거듭 밝혔다고 삼성 변호인단이 21일 전했다.
이 부회장은 또 김지형 삼성 준법감시위원장과 위원들이 앞으로도 계속 본연의 역할을 다해 줄 것도 당부했다.
변호인단은 재상고 여부는 아직 밝히지 않았다. 재상고 여부는 지난 18일 서울고법 파기환송심 선고 이후 일주일 안에 결정해야 한다.
이날 이 부회장이 준법위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힌 것은 재구속 이후 3일만에 나온 것이다. 당시 재판에서 재판부가 실형을 선고했을 때도 이 부회장은 최후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앞서 이 부회장은 지난해 12월 30일 서울고법에서 열린 파기환송심 결심공판에서 최후진술을 통해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공개한 바 있다.
당시 이 부회장은 "준법을 넘어 최고 수준의 투명성을 갖춘 회사로 만들겠다"면서 "어렵고 힘들더라도 반드시 정도를 걸어가고 과거로 돌아가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준법감시위원회가 본연의 역할을 하는 데에 부족함이 없도록 충분한 뒷받침을 하겠다"며 "이제부터 준법감시위원회 위원들을 정기적으로 뵙고 저와 삼성에 대한 소중한 질책도 듣겠다"고 강조했다.
이례적으로 이 부회장이 구속 수감 상태임에도 준법감시위원회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약속한 것은 일각에서 제기되는 준법위 '폐지론'을 불식시키기 위한 의도로 읽을 수 있다.
재계와 법조계 일각에선 이 부회장이 국정농단 파기환송심에서 재판부의 지적을 받아들여 도입했던 준법감시위원회가 실형을 면하는 데 역할을 못한 데 대해 책임을 피하지 못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재판부도 판결문을 통해 준법위의 진정성은 인정했지만 "앞으로 발생 가능한 새로운 유형 위험에 대한 위험 예방 및 감시 활동 하는데까지는 이르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활동 역량에 의문을 더했다.
특히 준법위 자체가 국내 대기업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조직인 데다가 법적으로 지위도 불분명하다는 특이점 때문에 점차 입지가 쪼그라들어 존폐의 기로에 몰릴 것이란 지적이 끊이질 않았다.
이러한 가운데 이 부회장은 외부에서 삼성 준법위 흔들기를 조기에 차단하면서 동시에 자신이 그동안 꾸준히 강조해왔던 '준법경영'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번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준법위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는 분석이다.
준법감시위는 지난해 이 부회장이 직접 4세 경영승계 포기와 무노조 경영 폐기를 발표한 대국민 사과 등을 이끄는 등 성과를 낸 것으로 평가받기도 했다.
한편,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는 이날 오전 9시 30분 서울 서초동 삼성생명 사옥에서 2021년 첫 정기회의를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 김지형 위원장을 비롯한 준법감시위원들은 위원회와 협약을 체결한 7개사 외의 회사들에서 발생할 위법행위를 방지할 감시체계, 향후 새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위험성, 사업지원TF(태스크포스)의 역할을 재정립하는 등의 논의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부회장은 앞서 지난 18일 열린 국정농단 파기환송심 선고기일에서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됐다. 이 부회장은 2018년 2월 5일 국정농단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석방된 지 1078일만에 재구속됐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