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구녀관 설립 134주년을 맞아 기념 예배 및 보구녀관 역사 사진전이 27일 서울 강서구 이대서울병원에서 열렸다.
1887년 조선 최초로 문을 연 여성 전문병원 '보구녀관(普救女館)'은 남성 의사에게 몸을 보이지 못해 치료를 포기하던 조선 여성들을 위해 세워졌다. 여성 의료 선교사 메타 하워드, 로제타 홀, 메리 커틀러 등이 진료했고 최초의 한국인 여의사인 박에스더(김점동)도 보구녀관 병원장으로 헌신했다.
'여성을 널리 구하는 곳'이라는 의미의 '보구녀관'이라는 이름은 고종이 직접 하사했다. 보구녀관은 릴리안해리스 기념병원, 동대문부인병원, 이대동대문병원으로 이어져 현재의 이화의료원(이대목동병원, 이대서울병원)이 계승했다.
이번 보구녀관 설립 134주년 기념행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소규모 예배 형식으로 이뤄졌다. 여메례, 김사라와 같은 '전도 부인'이 보구녀관 환자 대기실에 머물며 환자들에게 복음을 전파하는 등 보구녀관이 일종의 '교목실' 역할을 했던 것을 기리는 의미기도 하다. 안선희 이화여대 교목실장이 인도한 기념 예배에는 장명수 이화학당 이사장, 김은미 이화여대 총장, 이영주 이화학당 이사, 신경림 대한간호협회장 등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