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삼성전자, 코로나 진단키트 '해결사'로 나서...자가진단키트업체 스마트공장 지원

삼성전자, 코로나 진단키트 '해결사'로 나서...자가진단키트업체 스마트공장 지원

발행 :

배병만 산업레저대기자
충남 천안의 '젠바디'에서 삼성전자 스마트공장 전문가와 젠바디 직원(가운데)이 자가진단키트 조립 라인을 점검하고 있다.
충남 천안의 '젠바디'에서 삼성전자 스마트공장 전문가와 젠바디 직원(가운데)이 자가진단키트 조립 라인을 점검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또다시 코로나19 극복 해결사로 나섰다. 이번엔 '품귀 현상'인 자가진단키트업체의 스마트공장을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 생산 업체를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구축' 긴급 지원에 나선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삼성전자 스마트공장 구축 전문가 19명이 급파돼 진단키트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지원 활동에 들어갔다.


구체적으로 삼성전자는 ▲설비당 작업시간 단축을 통한 생산성 30% 향상 ▲생산라인 재배치와 재고관리 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효율적 물류 관리 ▲'젠바디' 협력회사의 금형·사출·인쇄 기술 지원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또 '젠바디'의 신공장의 조기 안정화도 지원할 예정이다. 신공장이 오는 4월 말 가동에 들어가면 '젠바디'의 전체 자가진단키트 생산량은 현재 주당 300만개에서 600만개로 2배로 증가한다.


내달 하루 평균 확진자 수가 20만명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결정으로 국내 자가진단키트 수급난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이 업체 외에 추가로 자가진단키트 생산 업체인 '수젠텍'에도 제조 전문가를 파견해 물류·설비·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코로나19 급격한 확산으로 방역 물품 부족 현상이 빚어질 때마다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을 통해 관련 물품의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리며 코로나19 위기 극복에 기여해 왔다.


삼성전자는 2015년 중소·중견기업 대상 제조 환경 개선 사업인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을 시작했고, 2018년부터는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중앙회와 함께 삼성전자와 거래 여부와 상관없이 지원이 필요한 모든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확대해 운영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2015년부터 2021년까지 모두 2819개 사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은 전국 곳곳의 중소기업 대상으로 실시돼,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고 평가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국가적 노력에도 동참했다. 지난 2020년 3월 코로나19 환자 급증으로 인한 병상 부족 해소를 위해 삼성인력개발원 영덕연수원과 삼성생명 전주연수원을 생활치료센터로 제공해 환자들을 치료하고 회복을 지원했다.


같은 해 8월에는 수도권 지역 환자들을 위해 고양시 삼성화재 글로벌캠퍼스와 용인시 삼성물산 국제경영연구소를 생활치료센터로 제공했다. 생활치료센터에는 삼성의료원 소속 전문 의료진도 파견했다.


이런 삼성전자의 행보는 이재용 부회장의 동행 비전에 따른 것이다. 이 부회장은 2019년 창립 50주년 메시지를 통해 "같이 나누고 함께 성장하는 것이 세계 최고를 향한 길"이라며 '동행'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추천 기사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인기 급상승 뉴스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