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세계 100대 ICT 기업 한국 2곳뿐…미·중·일·인도에 뒤져

세계 100대 ICT 기업 한국 2곳뿐…미·중·일·인도에 뒤져

발행 :

배병만 산업레저대기자
사진

세계 100대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가운데 한국 기업은 단 2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중국, 일본에 비해 한참 뒤처지는 수준이다.


12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기업분석 데이터베이스인 S&P Capital IQ를 통해 세계 ICT기업 시총 100대 기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00대 ICT 기업에 한국은 삼성전자 9위, SK하이닉스 56위 등 2곳만 들었다.


100대 ICT 기업 중 미국 기업이 56개로 절반을 차지했으며 중국 9개, 일본 8개, 인도 4개, 대만 3개 등의 기업이 포함됐다.


향후 100대 기업 진입 가능성이 있는 200대 기업으로까지 범위를 넓혀도 한국 기업은 네이버와 카카오를 포함해 5개에 그쳐 중국(27개)과 일본(17개)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ICT 산업 내 5대 세부업종별로 각각 시가총액 기준 상위 100대 기업을 추려본 결과 한국은 반도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모든 ICT 핵심 산업에서 각 1~2개 기업만이 포함됐다.


특히 반도체 산업의 시가총액 기준 세계 100대 기업에 한국은 2곳이 이름을 올려 중국 41곳, 미국 31곳, 대만 15곳 등 경쟁국에 비해 턱없이 부족했다.


한국은 SK하이닉스 11위, SK스퀘어 63위 단 2개사만이 올랐는데 SK스퀘어가 SK하이닉스의 모회사인 투자기업인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1개사인 셈이다.


업종 분류상 '기술 하드웨어'로 분류돼 있는 삼성전자를 포함하더라도 세계 100대 기업에 포함되는 반도체 기업은 총 3곳에 불과한 셈이다.


전경련은 주요국이 반도체에 국가재원을 적극 투입하는 것에 비해 한국의 상황은 다소 아쉽다고 지적했다.


전경련이 OECD로부터 제공받은 주요 글로벌 반도체기업의 매출 대비 정부지원금 비중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4~2018년 중국 SMIC 6.6%, 미국 마이크론 3.8%, 네덜란드 NXP 3.1%에 비해 한국은 가장 낮은 수준(삼성전자 0.8%·SK하이닉스 0.5%)을 기록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한국이 IT 강국이라지만 세계시장이라는 냉혹한 전쟁터에서의 성적표는 다른 결과를 말한다"며 "우리 경제의 디지털화 속도가 생각보다 느리고 소프트웨어 분야 경쟁력도 낮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차세대 업종인 사이버안보의 경우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양국 협력을 강조할 정도로 유망한 분야로 예상되는 만큼 한국 기업이 국제무대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투자를 비롯해 관련 각종 제도 정비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요 기사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인기 급상승 뉴스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