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롯데 신동빈, 중소기업과 상생 다짐…국내 중기 해외 판로개척

롯데 신동빈, 중소기업과 상생 다짐…국내 중기 해외 판로개척

발행 :

배병만 산업레저대기자
신동빈 회장이 최근 부산 사직야구장을 방문, 박수를 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뉴시스
신동빈 회장이 최근 부산 사직야구장을 방문, 박수를 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뉴시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사면 후 첫 행보로 독일과 미국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중소기업 해외 판로개척 사업에 나선다. 8·15 특별사면 당시 밝힌 "국내 산업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그룹의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롯데는 중소벤처기업부와 9월 독일·미국에서 '롯데-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LOTTE-KOREA BRAND EXPO)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국내 우수 중소·벤처·스타트업 기업들의 해외시장 판로개척을 위해서다.


롯데 유통 6개사가 함께 그룹 차원에서 해외 판로 개척 상생 활동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지난 5월 '대한민국 중소기업인 대회'에서 "롯데지주 및 유통 관련 계열사가 적극적으로 중소기업들과 협업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후 진행되는 첫 번째 그룹 차원 상생 활동이다.


신 회장은 8·15 광복절 특별 사면을 받으면서 "국내 산업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 넣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그룹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사회적 역할 강화 의지를 드러냈는데, 이의 일환이기도 하다.


'롯데-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는 참가하는 중소기업 수만 200개사에 이른다. 지난 6월 온·오프라인을 통해 참가 신청을 받아 롯데 유통 6개사의 협력 중소기업 100개사와 미거래 국내 우수 중소기업 100개사가 선정됐다.


롯데는 선정된 중소기업에 제품 홍보 콘텐츠 제작 및 온·오프라인 홍보, 국내외 TV홈쇼핑 및 글로벌 유통 채널을 활용한 라이브 커머스 판매 방송, 롯데 유통 계열사 바이어 초청 1대 1 국내 입점 상담회 등 판로 확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펼친다.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롯데-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산업 박람회인 'IFA(베를린 국제가전박람회) 2022'에 참가해 진행한다.


롯데는 다음달 5~6일 IFA 글로벌 마켓에 우수 중소기업 50개사가 참여하는 통합 전시 부스를 마련해 상품 판촉전을 열고 다국적 바이어들과 수출 상담회도 진행한다.


IFA 글로벌 마켓은 유럽에 상표 등록이 안된 신규 진출 기업을 위한 전시관으로 제조·유통·수입업체들의 B2B 소싱 플랫폼으로 활용된다.


오는 9월 20일~21일에는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총 150개 중소기업이 참여한 가운데 두번째 '롯데-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가 열린다.


맨해튼 남동부에 있는 '피어17'에서 진행되며 상품 판촉전과 수출 상담회 뿐 아니라 유명 셰프들과 아티스트들의 K-푸드 및 K-뷰티쇼를 통해 K-브랜드와 한류 콘텐츠를 현지에 알릴 예정이다.


행사 기간 현지 엑스포에 직접 참가하지 못한 국내 중소기업 50개사를 위해 사전 매칭된 다국적 바이어들과 온라인 상담이 동시 진행된다.


신 회장은 지난 6월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열린 CGF(The Consumer Goods Forum) 글로벌 서밋에서 글로벌 소비재 경영진과 포럼 참석자들에게 개최지 부산의 역량을 적극 소개하는 한편, 비즈니스 미팅에서도 부산에 대한 지지를 당부했다. 지난달 13일 부산 사직구장서 열린 프로야구 홈 경기에서는 '플라이 투 월드 엑스포'(FLY TO WORLD EXPO) 행사에서도 박람회의 성공적인 유치를 기원했다.


신 회장은 "세계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좋은 중소기업이 국내에도 많이 있다"라며 "이들의 해외 판로개척과 확대를 지속 지원하고 서로 협력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롯데는 지난 2013년부터 10년간 명절 전 납품대금을 조기에 지급하고 있다. 올 추석에는 롯데백화점, 롯데건설 등 롯데 그룹 30개 계열사의 1만2000여 중소 협력사를 대상으로 총 6315억원의 납품대금을 평균 9일가량 당겨 지급할 계획이다.


주요 기사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인기 급상승 뉴스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