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코오롱, 우주로 향한다…'한빛-TLV'에 부품 공급하고 지분투자 결실

코오롱, 우주로 향한다…'한빛-TLV'에 부품 공급하고 지분투자 결실

발행 :

전시윤 기자
21일 발사에 성공한 국내 최초의 민간 시험발사체인 한빛-TLV가 브라질 알칸타라 우주센터에서 발사 준비를 하고 있는 모습
21일 발사에 성공한 국내 최초의 민간 시험발사체인 한빛-TLV가 브라질 알칸타라 우주센터에서 발사 준비를 하고 있는 모습

코오롱 그룹은 한국 최초의 민간 시험발사체 '한빛-TLV' 발사 성공과 관련, 주요 계열사들이 소재·부품 공급사, 투자자 등으로 참여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시험 발사체에는 코오롱데크컴퍼지트가 보유하고 있는 초경량, 고내열성 복합재 부품 개발 기술력을 바탕으로 생산된 다양한 주요 부품들이 추진시스템과 탑재체 등에 들어갔다.


고압의 헬륨가스와 질소가스를 저장하는 가압탱크에서부터 하이브리드 추진제를 저장하고 고온·고압의 연소과정을 담당하는 복합재 연소관 챔버, 초고온·초고압으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해 추력을 발생시키는 복합재 노즐 조립체까지 고기능성 복합소재 부품들이다. 발사체 상부에 탑재되는 위성 등을 보호하는 고강성 구조의 노즈콘 페어링도 코오롱데크컴퍼지트가 제작했다.


코오롱은 이노스페이스에 대한 투자도 함께 진행했다. 투자회사인 코오롱인베스트먼트는 2019년에 10억 원의 첫 투자를 시작으로 다음해 10억 원을 추가로 투자했다. 2021년에는 모빌리티 소재·부품 전문계열사인 코오롱글로텍이 60억 원을, 코오롱인베스트먼트가 추가로 28억원을 투자하면서 코오롱그룹 계열사가 이노스페이스에 투자한 총금액은 108억 원으로 늘었다. 이는 이노스페이스 전체 지분 중 17.7%로 외부 투자자들 중 최대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위성발사체 시장은 2027년 약 296억 달러 규모로 년 평균 15.1%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 현재 까지 미국 스페이스엑스(SpaceX)는 400kg급 위성 1000여기를 발사했으며 향후 최대 1만2000기를 추가로 발사할 예정이다. 아마존, 페이스북 등 글로벌 IT기업들도 수백기의 중소형 위성 발사를 계획하고 있다.


기상관측, 통신, 중계, 인터넷 등 용도의 500kg 이하의 소형 위성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소형 발사체 개발이 급증하며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기존에는 소형 위성을 대부분 대형 발사체를 통해 쏘아 올렸으나 대형 발사체의 경우 제작 기간과 발사 대기 시간이 길고 실패 리스크가 커 소형 위성 전용 발사체의 수요가 증가세다. 현재 전 세계 약 40여 개 업체가 소형 위성 발사체 서비스를 목표로 운영 중이며, 국내는 이노스페이스 등의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코오롱그룹 관계자는 "민간 우주산업에서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라며 "국내 우주개발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기사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인기 급상승 뉴스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