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미국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신제품을 공개하고 시장 공략에 나섰다. AP는 스마트폰의 '두뇌'격인 핵심 반도체다.
삼성전자는 5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시스템LSI 테크 데이 2023'에서 '엑시노스 2400'을 공개했다. 이 칩은 미국 반도체 기업 AMD의 최신 아키텍처인 RDNA3 기반의 '엑스클립스 940 그래픽 처리장치'(GPU)를 탑재한 차세대 모바일 프로세서다. 전작(엑시노스 2200)에 비해 중앙처리장치(CPU) 성능은 1.7배, AI 성능은 14.7배 대폭 향상돼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했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이 프로세서에 빛을 추적하는 레이 트레이싱(Ray Tracing), 빛의 반사효과와 그림자 경계를 현실 세계와 유사하게 표현하는 리플렉션·섀도 렌더링(Reflection·Shadow Rendering) 등 첨단 그래픽 기술을 탑재해 고성능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에게 최고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작년 초 '엑시노스 2200'를 출시하면서 업계 최초로 레이 트레이싱을 하드웨어로 탑재해 콘솔게임 수준의 게이밍 경험을 제공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엑시노스 2400'을 차세대 스마트폰에 탑재해 문자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새로운 생성형 AI 기술도 선보였다. 특히 2억 화소 이미지센서 기반 초고해상도 특수 줌 기술인 '줌 애니플레이스(Zoom Anyplace)'가 처음 공개됐다.
움직이는 사물을 풀스크린하고 최대 4배 클로즈업 장면까지 화질 저하 없이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기술이다. 클로즈업시 AI 기술이 사물을 자동 추적한다. 자동차 인포테이먼트용 프로세서인 엑시노스 오토·아이소셀 오토·아이소셀 비전 등 다양한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제품 기술도 시연됐다.
삼성전자는 엑시노스 2400 외에도 2025년 양산 예정인 차세대 프리미엄 인포테인먼트(IVI)용 프로세서인 '엑시노스 오토 V920' 구동 영상도 공개됐다. 이전 대비 1.7배 강화된 CPU 성능과 최대 6개의 고화질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연결해 스마트하고 즐거운 모빌리티 경험을 느낄 수 있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차량용 이미지센서인 '아이소셀 오토'와 사물의 빠른 움직임을 순간적으로 정확하게 포착하는 '아이소셀 비전' 제품을 통해 안전 주행 기술도 선보였다.
이날 기조연설을 맡은 박용인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사장은 사람의 오감인 미각·후각·청각·시각·촉각 중 현재 반도체가 구현하지 못하는 미각과 후각 역할을 하는 반도체 개발을 목표로 한다는 비전을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삼성전자는 비지상 네트워크(NTN) 사업자 스카일로 테크놀로지스와 함께 차세대 5G 모뎀을 통해 모바일 기기와 인공위성을 5G로 연결하는 비지상 네트워크 통신도 소개했다. 비지상 네트워크 기술은 비상 상황에 유용하다. 행사에서는 실제 휴대전화 서비스 불가 지역에서 인공위성을 5G로 연결하고 양방향 문자 송수신을 통해 구조 요청을 하는 데모 영상을 공개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