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이정배 삼성전자 사장 "D램·낸드 집적도 극한 수준으로 높인다"

이정배 삼성전자 사장 "D램·낸드 집적도 극한 수준으로 높인다"

발행 :

김혜림 기자
이정배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 사장
이정배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 사장

"삼성전자가 다가올 10나노 이하 D램과 1000단 V낸드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새로운 구조와 소재의 혁신을 개발 중이다. 삼성전자는 현재 11나노급 D램을 개발 중이고, 9세대 V낸드는 내년 초 양산을 위한 동작 칩을 성공적으로 확보했다."


이정배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 사장은 17일 삼성전자 뉴스룸 기고문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 사장은 "D램은 3D 적층 구조와 신물질을 연구개발하고 있으며, V낸드는 단수를 지속 늘리면서도 높이는 줄이고,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해 업계에서 가장 작은 셀 크기를 구현하는 당사의 강점을 지속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며 "V낸드의 입출력(I/O) 스피드를 극대화하기 위해 신구조 도입을 준비하는 등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차세대 혁신 기술을 착실히 개발 중이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개발 중인 11나노급 D램은 업계 최대 수준의 집적도를 달성하겠다"라며 "9세대 V낸드는 더블스택(Double Stack)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최고 단수를 개발 중으로, 내년 초 양산을 위한 동작 칩을 성공적으로 확보했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성능, 고용량, 저전력 기술을 모두 담은 주력 제품도 지속 확장할 계획이다. 최근 삼성전자는 업계 최고 용량인 32Gb DDR5 D램 개발에 성공했다. 더 나아가 CMM(CXL Memory Module) 등의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적극 활용해 메모리 대역폭과 용량을 원하는 만큼 확장하는 기술도 개발 중이다. 또 AI 시대에 맞춰 현재 HBM3(고대역폭메모리)을 양산 중이고, 차세대 제품인 HBM3E도 정상 개발하고 있다.


이 사장은 "메모리 병목현상 개선을 위해 데이터 연산 기능을 메모리 칩 내부 혹은 모듈 레벨에서 구현하는 PIM(Processing-in-Memory), PNM(Processing-near-Memory) 기술을 HBM, CMM 등의 제품에 적용할 계획"이라며 "데이터 연산 능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동시에 전력 효율을 높이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어서 그는 "서버 스토리지 역시 응용처에 따라 용량을 변화시키고, 페타바이트급으로 확장할 수 있는 PB(Petabyte) SSD를 곧 선보일 예정이다"고 전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오는 20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개최되는 '삼성 메모리 테크 데이 2023'에서 최신 메모리 반도체 기술과 미래 전략을 소개할 예정이다.


주요 기사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인기 급상승 뉴스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