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한국영화 제작편수 지난해 25% 수준, 사상 최악"

"한국영화 제작편수 지난해 25% 수준, 사상 최악"

발행 :

윤여수 기자
ⓒ홍봉진인턴기자
ⓒ홍봉진인턴기자

스크린쿼터 축소와 한미 FTA 타결 이후 한국영화계의 위기감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8일 오전 서울 충무로 영화제작사 싸이더스FNH 회의실에서 열린 '한미 FTA 협정문 공개에 따른 영화계 입장'을 발표하는 문화침략 저지 및 스크린쿼터 사수 영화인대책위 기자회견에서 영화 관계자들은 이 같은 위기감을 드러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장동찬 영화제작가협회 사무국장은 현재 28개 회원사들의 제작 편수가 전년 상반기 대비 "25% 수준이다"고 밝혔다.


장 국장은 "예년에 전체 한국영화 제작편수 가운데 40%, 점유율 기준 80% 가량을 차지한 영화제작가협회 회원사들의 제작 규모가 올해 상반기에는 6편에 불과하다"면서 "이는 사상 최악의 상황이다"고 말했다.


그는 "하반기 제작될 예정인 영화도 10편을 넘지 못할 것이다"면서 "스크린쿼터가 무너졌기 때문이다"고 그 원인을 지적했다.


영화산업노조 최진욱 위원장도 현장 스태프들의 위기감을 전했다.


최 위원장은 "조합원들이 현장에서 더 이상 일을 하지 못하는 상황을 맞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조합원들이 조합을 탈퇴하면서 밝힌 사유는 모두 이직이었다"면서 스태프가 겪는 위기감을 설명했다.


향후 영화 현장에서 일하게 될 연극영화 전공 대학생들의 위기감도 컸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전국연극영화과학생연합 송상훈(중앙대) 대표는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선배 영화인들의 얘기를 들으면서 위기를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한국영화가 관객과 만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없어짐으로써 향후 영화계로 진출한 학생들 역시 그 피해 당사자가 될 것이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어 "방학 기간에 국토대장정 등을 통해 한미 FTA 무효화 및 스크린쿼터 원상회복 등을 위한 운동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영화인대책위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한미 FTA 협정문 폐기를 주장했다.


추천 기사

    연예-영화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영화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