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 영화 최대 축제 부산국제영화제(BIFF)가 내달 6일부터 14일까지 9일간 영화 축제를 시작한다.
16돌을 맞은 부산국제영화제는 명실공히 아시아 최대 영화제로 거듭났다. 특히 올해는 영화제 전용관인 영화의 전당이 생기는 등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새롭게 거듭나려는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변화들을 미리 짚어봤다.
올해부터 이용관 집행위원장이 전면에 나선다. 그동안 부산국제영화제를 탄생부터 지켜온 김동호 전 집행위원장이 지난해를 끝으로 물러나면서 공동위원장이었던 이용관 위원장이 영화제를 이끌게 됐다.
이용관 위원장은 이번 영화제를 각 프로그래머들에 권한을 위임하는 한편 주요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포스트 김동호 시대를 연다. 스스로는 "포스트 김동호 시대가 아니라 새로운 부산영화제 시대"라고 했지만 첫 무대인만큼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올해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영화의 전당 시대가 열렸다는 점이다.
해운대 센텀시티 내에 자리한 영화의 전당은 총 1624억원이 투입됐다.
실내에는 최대 1,700여명 규모의 4개 상영관을 갖추고 4,000석 규모의 야외극장도 구비됐다. 영화제 기간 동안 영화의 전당을 비롯해 5개 상영과넹서 70개국 307편이 상영된다.
영화의 전당 개관은 영화제 중심이 해운대에서 센텀시티로 옮겨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올 영화제 기간 동안 상당수 프로그램들이 영화의 전당과 센텀시티 인근에서 진행된다.
우려도 앞선다. 영화의 전당을 운영해서 점검을 할 시간적인 여유 없이 바로 영화제를 운영하기 때문에 영화제 기간 동안 여러 문제점이 노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는 그동안 아시아 지역에 집중됐던 영화 뿐 아니라 아프리카, 남미 지역의 영화들도 선보인다. 부산국제영화제가 아시아를 넘어 세계의 영화제로 도약하기 위한 움직임 일환이다.
부산영화제가 세계적인 감독을 발굴하는 데 주효하게 작용했던 PPP는 올해부터 아시아프로젝트마켓(APM)으로 변경됐다. APM은 부산영상위원회가 개최하는 BIFCOM, 아시아영상정책포럼 등과 함께 모두 벡스코 한자리에 모여 마켓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부산영화제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부산영화포럼(BCF)는 영화의 다보스 포럼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아피차퐁 위라세타쿤 감독이 기조연설을 맡았으며, 봉준호 홍상수를 비롯한 세계 유수의 감독들과 카이에 뒤 시네마 등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영화 학술단체와 비평지들이 참여한다.
시민평론가상과 부산시네필상 등이 마련돼 관객들과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한 것도 눈에 띈다.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은 KBS가 생중계한다. 부산영화제와 KBS는 3년간 개막식 중계 계약을 맺었다. 포털사이트 다음이 메인 스폰서로 참여해 예매 시스템을 보다 원활하게 한 점도 달라진 점 중 하나다.
과연 올해 부산국제영화제가 가져온 변화가 어떤 식으로 펼쳐질지, 영화의 바다가 열릴 때가 성큼 다가왔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