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불한당:나쁜 놈들의 세상'

영화 '불한당:나쁜 놈들의 세상'(감독 변성현)은 뻔한 소재의 이야기인데, 감성을 푹 찌르며 눈을 뗄 수 없게 한다.
범죄 조직의 1인자를 노리는 재호(설경구 분)와 신참 현수(임시완 분)의 범죄 이야기 '불한당:나쁜 놈들의 세상'(이하 '불한당')은 거칠면서, 투박하고, 우악스럽다. '의리', '의심'이란 두 주제를 놓고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교도소에서 재호, 현수가 만나는 것으로 '불한당'은 막을 올린다. 교도소 안에서 담배사업을 벌이며 1인자로 군림하는 재호는 어느 날 자신을 위기에서 구해준 현수와 단짝이 된다. 그렇게 두 남자가 쌓아가는 우정은 혈육의 정보다 더 뜨겁고 진했다. 재호는 자신에게 다가온 현수에게 의심의 끈을 놓지 않으면서도 친동생처럼 아꼈고, 현수는 재호를 의심없이 믿고 따른다. 출소 후 재호는 현수와 함께 마약 밀수하면서 조직을 장악해 가고, 둘은 위기를 넘기면서 더욱 더 가까워진다. 이후 재호는 현수의 결정적인 도움으로 조직의 1인자가 된다. 그리고 재호와 현수의 관계는 둘의 만남이 시작되던 과거 사건으로 금이 가고, 서로에게 총을 겨누게 되면서 서로를 죽이지 않고는 살 수 없는 상황에 놓인다.

사실 '불한당'은 뻔하디 뻔한 소재로 가득 찬 영화다. 건달, 범죄조직, 언더커버 등 이미 많은 영화에서 다뤄진 내용들이 모였다. 그런데 식상하지 않다. 극 초반부터 까발려 놓은 비밀은 '언제 탄로날까'라는 흔한 추리를 잊게 한다. 대신 극중 인물들이 놓인 상황에 몰입하게 한다. 또한 재호, 현수를 두고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교차 편집은 상황에 따라 등장인물들의 상황들에 이해를 높인다. 여기에 거칠고, 투박하지만 우악스러운 남자들의 의리를 부각 시키는데 단순한 브로맨스를 넘는 감정선이다. 성별만 남자일 뿐, 그 감정신이 멜로 같다.
재호와 현수가 보여주는 멜로 같은 감정은 나쁜 놈이 될 수밖에 없던 배경에서 공감대를 더한다. 가족에게 버림 받고 불한당이 된 재호는 여전히 버림 받는 삶이다. 현수 역시 자신이 몸 담고 있던 경찰 조직으로부터 버림 받았다는 이유로 불한당이 됐다. "버려진 새끼들끼리 재미있지 않겠냐?"라는 재호의 대사는 나쁜 놈들이 된 둘의 상황을 대변하는 대목. 그래서 둘에게 더 빨려든다.
단순히 연출된 상황만 감성을 건드리지 않는다. 설경구, 임시완이 만들어 간 감정신은 처절함과 애틋함이 있다. 허허실실 하면서도 늘 배신이란 의심의 끈을 놓지 못하는 재호의 성격을 설경구는 미세한 동작 하나에서부터 만들어 낸다. 그는 눈빛의 떨림, 웃음으로 대신하는 불안감을 표정과 목소리로 담아냈다. 또한 임시완은 의리, 배신, 복수 등 여러 감정을 악에 바친 듯 표현했다. 덕분에 설경구와 임시완의 연기를 관찰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불한당'은 뻔한 소재들에 나쁜 놈들의 감성이라는 양념을 친 오락 영화다. 남자들의 감성 의리를 느껴보고 싶은 관객들에게 안성맞춤.
5월 18일 개봉. 청소년 관람불가. 러닝타임 120분.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