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실화 아닌 부성애+첩보물"..'출국', 논란 이겨낼까[종합]

"실화 아닌 부성애+첩보물"..'출국', 논란 이겨낼까[종합]

발행 :

잠실=김현록 기자
영화 '출국'의 배우와 감독 / 사진=임성균 기자
영화 '출국'의 배우와 감독 / 사진=임성균 기자

영화 '출국'은 외적 논란을 딛고 영화로 관객과 만날 수 있을까.

5일 오후 서울 잠실 롯데시네마 월드타워에서 영화 '출국'(감독 노규엽) 언론배급시사회가 열렸다. 노규엽 감독과 배우 이범수, 연우진, 이현정이 참석했다.


영화 '출국'은 1986년 분단의 도시 베를린을 배경으로 서로 다른 목표를 쫓는 이들 속 가족을 되찾기 위한 한 남자의 사투를 담은 작품. 주인공은 베를린에 유학 중이던 평범한 경제학자 영민. 그는 자신과 가족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북으로 가는 선택을 했다가 탈출, 코펜하겐 공항에서 가족과 헤어지게 된다. 그는 각국 정보국에 도움을 요청하지만 그들 역시 영민 가족의 생사에는 관심을 두지 않은 채 다른 목적으로 그를 이용하고 감시한다.


영화 '출국'은 오길남 박사의 논픽션 '잃어버린 딸들 오 혜원 규원'이 원작으로, 극중에서는 주인공 영민이 재독 의사 강문환으로부터 월북을 권유받는다. 실제로 오길남 박사는 작곡가 고 윤이상과 월북 제의에 대한 진실 공방 논란이 있다. 더욱이 '사선에서'라는 가제로 먼저 알려졌던 '출국'은 지난해 제작비 중 상당 부분이 지난 정부 지원금으로 충당돼 이른바 '화이트리스트' 논란이 일기도 했다.

노규엽 감독 / 사진=임성균 기자
노규엽 감독 / 사진=임성균 기자

이와 관련해 연출자 노규엽 감독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는 아니다. 1985년 북으로 갔다가 본인의 잘못을 깨닫고 나오는 길에 코펜하겐 공항에서 탈출한 경제학자의 비극적인 사건을 가지고 재구성하고 새롭게 창작한 작품"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오길남 박사의 비극적인 탈출 사건을 영화화하고 싶다고 생각했을 때 부담감은 없었다. 제가 박사님의 전기 영화를 만든다고 했다면 부담이 있었겠지만 제가 만들고자 했던 이야기는 전기영화가 아니고 이 비극적인 탈출 사건을 어떻게 풀어갈 것인지, 어떻게 영화적으로 접근할 것인지를 치열하게 고민했다"고 설명했다.


노규엽 감독은 "이야기를 접했을 당시 1970, 80년대 아날로그 정서의 첩보물에 빠져 있었다. 요즘으로 따지면 최첨단 디지털 장비와 스마트폰이 없는 시대 첩보물에 가족을 잃은 아버지의 첩보물을 얹으면 차가운 스파이의 세계와 뜨거운 남자의 이야기가 충돌하면서 뭔가 재미있는 이야기가 나올 것 같다는 흥미가 생겼다. 그렇게 시작됐다"고 말했다. 노 감독은 "체제에 치인 개인의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또 극중 강문환 캐릭터가 작곡가 윤이상을 떠오르게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실제 사건에서) 오 박사와 윤이상 선생님 두 사람이 편지를 주고 받았네 안 받았네 월북 제의에 대한 진실공방이 있었던 것을 알고 있다. 진실은 그 두 사람만 알고 있다. 진실이 드러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인물을 다룰 수 없었다"면서 "극중 지식인인 영민에 대한 안타고니스트가 필요했다. 윤이상 선생님과 전혀 관련이 없다"고도 밝혔다.


노규엽 감독은 간담회 말미 "마지막이니까 길게 말씀드리겠다"며 "작년에 저희 영화 출국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가 나왔다. 사실인 기사도 있었지만 많은 기사들이 합리적 의심이라는 근거아래 사실이 아닌 기사가 많았다"고 직접 '화이트리스트' 논란을 언급하기도 했다.


노 감독은 "당시 촬영을 마치고 한창 후반 작업 중이었다. 어떤 날은 마음이 아팠고 어떤 날은 기운이 없었다. 어떤 날은 손 하나 까딱 하기 싫은 날이 부지기수였다. 그럴 때마다 이 영화에 참여한 스태프와 배우들의 노력, 그에 대한 보상은 지켜져야 하고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니 정신이 번쩍 들었다"면서 "하루 빨리 이 영화를 세상 밖에 내놓아야겠다 생각했다"면서 "영화를 영화로 봐주셨으면 좋겠고 영화 자체로 대중들고 소통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배우 이범수 / 사진=임성균 기자
배우 이범수 / 사진=임성균 기자

배우들은 영화를 찍은 진심을 강조하며 폴란드 로케이션 촬영 에피소드 등을 소개했다.

주인공 영민 역의 이범수는 폴란드 촬영에 대해 "기대 간 긴장감 반 집중하며 임했다"며 "저희 오기 전에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스파이 브릿지' 촬영을 했다면서 저희 팀 장비를 보고 놀라워 하기에 기쁘고 기분이 좋았다"고도 말했다. 그는 "해외 스태프는 안된다 하고 우리는 된다고 하고, 실제로 해보면 그것이 되어서 그들이 놀라워하고 하는 일이 있었다"고 자부심드러내며 "스케줄 등 전반적인 면에서 유쾌하게 기분좋게 임했던 작품이다. 너무 좋아서 폴란드 스태프를 개봉하면 초대하겠다고 했는데 이번에 그럴 생각이다. 좋은 추억이 담긴 제 필모그래피 중 하나의 작품이 됐다"고 밝혔다


이범수는 "시나리오가 가슴에 와 닿았다. 가슴이 먹먹하고 절절했다고 할까. 그 무렵 읽었던 자극적인 오락영화든 이런저런 시나리오들이 있었지만 이상하게 이 작품에서 눈이 떨어지지 않고 머릿 속에서 계속 맴돌았다"고 고백하기도 했다. 이범수는 "제가 한 가정의 가장이고 두 아이의 아빠이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며 "가정을 이루고 실제 아이의 아빠, 아내의 남편이 되는 경험이 없다면 깊이 진하게 느끼지 못하지 않았을까 한다. 무척 가슴에 와 닿았고 이 시나리오가 잘 영상화 돼서 영화화되면 좋겠다, 꼭 참여하고 싶다고 생각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나이를 먹고 아빠가 되고 이런 것들이 저를 성숙하게 한다"면서 "수많은 아빠의 한 명이지만 저도 아빠니까 이 아빠의 고뇌를 외면하고 싶지 않았다. 오영민이라는 인물을 아빠로서, 저런 환경에 처할 수밖에 없는 운명에 대해서도 응원해주고 싶었다"고 강조했다.


연우진은 극중 영민과 절친한 동생이지만 실제로는 영민을 감시하기 위해 접근한 안기부 요원 무혁 역을 맡았다. 여러 액션을 소화한 그는 "동적인 움직임, 활동성이 영화에 긴장을 줄수 있겠다 싶어 준비를 했다"며 "첫 장면이 다리에서 영민과 만나는 신이었는데 수동 운전이 익숙하지 않아 폴란드에 교통 체증을 일으킨 것 같아 죄송했다"고 너스레를 떨기도 했다.


연우진은 극중 이범수의 멱살을 잡는 장면에 대해 "멱살을 잡는데 힘이 과하게 들어갔다. 가슴에 멍이 들어 애를 먹었던 기억이 있다"며 "나머지 액션들은 수많은 합을 연습을 하면서 약속된 호흡 속에 연습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나만의 오버스러움, 미숙함이 보여주지 않고 합이 떨어질 때 좋은 연기가 나온다. 연기의 기본을 액션을 통해 생각할 수 있었던 것 같다. 호흡과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됐다"고 강조했다.


영화 '출국'은 오는 14일 개봉한다.


추천 기사

    연예-영화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영화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