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이 벌써 세 번째다. 넷플릭스가 한국 작품에 대한 자막, 설명 표기로 물의를 빚어서 결국 수정했다.
지난 20일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택시 운전사'의 일본 넷플릭스 자막 표기가 논란이 됐다. 일본 넷플릭스 측에서 '택시운전사'를 "폭동을 취재하겠다는 독일 기자를 태우고 광주를 목표로 향하는 택시운전사"라고 설명하며 광주민주화 운동을 폭동으로 설명한 것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글들이 다수 게재됐고 넷플릭스 측은 확인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자막 표기에 한국 네티즌 뿐 아니라 상당수 일본 네티즌들도 분노했다. 일본 네티즌들은 광주민주화운동을 폭도, 폭동으로 묘사한 군사독재정권에 대한 비판을 이야기한 '택시운전사'를 폭동으로 설명한 것은 영화에 대한 모독이라고 지적했다.
넷플릭스 측은 하루 뒤인 21일 논란이 인 '택시운전사' 속 5·18 민주화운동을 폭동으로 표기한 것에 대해 수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관계자는 "'택시운전사'의 일본어 설명 문구를 검토했고, 해당 문구를 민주화 운동으로 수정했다"라고 알렸다.
넷플릭스의 자막 표기 논란은 이 뿐만이 아니다. 지난 2월 23일 넷플릭스를 통해 190여 개국에 공개된 영화 '사냥의 시간'(감독 윤성현)의 자막 논란이다. 한국 영화 최초로 극장 개봉 없이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 된 '사냥의 시간'은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30개 언어로 서비스 됐다. 당시 '사냥의 시간'의 독일어 자막에서 동해를 일본해(Japanischen Meer)로 표기해 논란이 일었다. 한국영화를 번역하는데 동해를 일본해로 번역한 오류를 범한 것이다.

당시에도 넷플릭스 측은 '사냥의 시간'에서 '동해'가 독일어 자막에서 일본해로 표기된 것을 확인하고 'Ostmeer'(동해)로 수정했다.
3월에는 제목이 문제가 됐다. 세계적으로 K-좀비 열풍을 일으킨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킹덤2'의 대만판 제목이 조선 비하 표현으로 공개 돼 빈축을 샀다. '킹덤' 대만판 제목은 '이시조선'(李屍朝鮮)'이었다. '이시조선'은 '이씨조선'을 차용해 '씨' 대신 시체 '시'를 넣은 것으로 조선을 배경으로 한 좀비물이기에 일종의 언어유희로 제목을 만든 것이다.
문제는 '이씨조선'이 이씨가 세운 조선이란 뜻으로 조선을 비하하는 일제강점기의 잔재라는 점. 언어유희로 사용했다고 하더라도 자칫 조선을 비하하는 표현이 해외에 굳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잇따랐고 넷플릭스는 사과 후 시전조선(屍戰朝鮮)으로 제목을 수정했다.
이처럼 넷플릭스가 세계적인 OTT 서비스로 190여개국의 시청자와 만나는 가운데, 현지 정서를 고려하지 못한 언어 표현이 문제가 되고 있다. 사과 후 발 빠른 수정을 한 것은 다행이지만, 향후 이러한 문제가 없도록 더욱 신중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