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덕 감독이 라트비아에서 코로나19 합병증으로 사망한 가운데, 유족 측이 김기덕필름을 통해 입장을 밝혔다. 장례 절차 등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확인되지 않은 억측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15일 김기덕필름은 공식입장을 통해 "고(故) 김기덕 감독과 관련하여 확인되지 않은 억측을 마치 사실처럼 보도되고 있는 것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정확한 사실을 알린다"라고 전했다.
김기덕필름은 "고인은 라트비아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된 후 약 2주 정도 최선의 치료를 받았으나 치료 도중 발견된 심장 합병증으로 지난 12월 11일 끝내 타계했다. 가족은 고인과 지속적으로 연락을 하며 치료 상황을 전달받았고 비보를 접한 유가족은 큰 고통과 슬픔에 빠져 있다"라고 알렸다.
장례 절차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김기덕필름 측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장례와 관련하여 여러 어려움이 있어 그 권한 중 일부를 주한 라트비아 대사관에 위임하였으나 모든 부분을 위임한 사실은 없으며 장례는 대사관의 도움을 받아 유가족이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고 김기덕 감독의 여러 논란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 보도되는 것에 우려를 표했다.
김기덕필름 측은 "고인은 2017년 형사사건에 휘말린 일이 있다. 당시 여배우 A는 2013년 영화촬영과 관련하여 고인을 폭행, 강요 및 강제추행치상 혐의 등으로 고소했다. 검찰은 연기지도를 위해 A의 뺨을 때린 행위만 폭행 혐의가 있다고 판단하여 벌금형으로 약식기소를 했을 뿐 정작 세간의 관심이었던 강요 및 강제추행치상 등에 대해서는 혐의없음 처분을 했으며, 사건은 그대로 종결됐다"라며 "사실과 다른 억측에 기한 일부 언론보도와 고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악성 댓글들이 충격적인 비보로 끝 모를 슬픔에 빠진 유가족을 더욱 깊고 어두운 고통 속으로 밀어 넣고 있다. 고인의 유가족을 위해 무분별한 억측과 비난을 삼가주시기 바란다"라고 밝혔다.
끝으로 "마지막까지 영화만을 위한 삶을 살다 간 고 김기덕 감독을 위해 명복을 빌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라고 덧붙였다.
김기덕필름에 따르면 해당 입장문은 고 김기덕 감독 유족들이 요청으로 발표됐다. 타지에서 들려온 가족의 안타까운 사망 소식에 여러 논란이 일자 입장을 밝힌 것이다.
고 김기덕 감독은 지난 11일 라트비아 현지의 발트 병원에서 코로나19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고 김기덕 감독의 시신은 라트비아에서 화장한 후 한국으로 유해를 들여오게 된다. 유족 측은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라트비아로 이동하기 여의치 않아 장례 절차 일부를 라트비아 한국 대사관에 위임했다.
한편 김기덕 감독은 1996년 '악어'로 데뷔한 뒤 '파란 대문', '섬', '실제상황', '해안선', '나쁜 남자',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사마리아' '빈집', '아리랑', '피에타' 등을 연출했다. 그의 작품은 매번 한국영화계에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한국보다 해외에서 더 많은 사랑을 받았다. 2004년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사마리아'로 감독상인 은곰상을 수상했고, 같은 해에 '빈집'으로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감독상인 은사자상을 받았다. 2011년 칸국제영화제에서는 '아리랑'으로 주목할만한시선상을, 2012년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는 '피에타'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세계 3대 영화제에서 모두 상을 받은 유일한 한국 감독이기도 하다.
이후 김기덕 감독은 2017년 여배우 A씨로부터 폭행, 강요, 강제추행치상 등 혐의로 고소당했다. 재판부는 김기덕 감독의 폭행 건에 대해서는 벌금 500만원에 약식명령을 내렸다. 강제추행치상에서는 검찰이 증거불충분 등을 이유로 불기소 처분했다. 이후 김기덕 감독은 '인간, 공간, 시간, 그리고 인간'이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초청돼 활동을 재개하려 했으나 미투 운동에 지목됐고 소송전을 벌였다. 이후 그는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등에서 활동을 해왔다. 지난해 모스크바국제영화제에서 심사위원장을 역임했고, 올해는 카자흐스탄에서 러시아어로 신작 '디졸브'를 현지 배우들과 함께 했다.
김기덕 필름 측 공식입장 전문
김기덕 필름입니다.
고 김기덕 감독과 관련하여 확인 되지 않은 억측을 마치 사실처럼 보도되고 있는 것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정확한 사실을 알립니다.
고인은 라트비아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된 후 약 2주 정도 최선의 치료를 받았으나 치료 도중 발견된 심장 합병증으로 지난 12월 11일 끝내 타계하였습니다. 가족은 고인과 지속적으로 연락을 하며 치료 상황을 전달받았고 비보를 접한 유가족은 큰 고통과 슬픔에 빠져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장례와 관련하여 여러 어려움이 있어 그 권한 중 일부를 주한 라트비아 대사관에 위임하였으나 모든 부분을 위임한 사실은 없습니다. 장례는 대사관의 도움을 받아 유가족이 진행할 예정입니다.
고인은 2017년 형사사건에 휘말린 일이 있습니다. 당시 여배우 A는 2013년 영화촬영과 관련하여 고인을 폭행, 강요 및 강제추행치상 혐의 등으로 고소하였습니다. 그러나 검찰은 연기지도를 위해 A의 뺨을 때린 행위만 폭행 혐의가 있다고 판단하여 벌금형으로 약식기소를 하였을 뿐 정작 세간의 관심이었던 강요 및 강제추행치상 등에 대해서는 혐의 없음 처분을 하였으며, 사건은 그대로 종결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사실과 다른 억측에 기한 일부 언론보도와 고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악성 댓글들이 충격적인 비보로 끝 모를 슬픔에 빠진 유가족을 더욱 깊고 어두운 고통 속으로 밀어 넣고 있습니다. 고인의 유가족을 위해 무분별한 억측과 비난을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까지 영화만을 위한 삶을 살다 간 고 김기덕 감독을 위해 명복을 빌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12월 15일
김기덕필름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