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우 강하늘이 '영끌족'을 연기한 소감을 밝혔다.
21일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의 한 카페에서 넷플릭스 영화 '84제곱미터'의 배우 강하늘과 만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84제곱미터'는 84제곱미터 아파트로 내 집 마련에 성공한 영끌족 우성(강하늘 분)이 정체를 알 수 없는 층간 소음에 시달리며 벌어지는 예측불허 스릴러.
강하늘은 영끌 끝에 국민평형 아파트에 입성했지만 층간 소음의 범인으로 오해받는 우성 역을 맡았다. 내 집 마련에 성공했지만 층간 소음이라는 악몽에 빠지면서 점점 예민해지고, 망가지는 우성의 복잡한 내면을 밀도 있게 풀어냈다.
강하늘은 '84제곱미터'에 출연한 이유에 대해 "대본이 속도감이 있었다. 현실적인 포인트가 있었고, 좁은 공간 안에서 일어나는 스릴러라는 부분이 읽을 때 재밌었고, 몰입도 잘 됐던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작품 공개 이후 가족들의 반응을 느꼈다며 "사촌형은 비슷한 경험이 있다고 심장이 아프다고 하더라. 소재가 현실적이다 보니까 대부분 스트레스받는다는 얘기를 해주셨다"고 말했다.
좁은 공간에서 펼쳐지는 이야기이다 보니까 고민이 있었을 터. 강하늘은 "앵글이 기본적으로 나올 수 있는 게 한정돼 있다 보니까 오히려 고민하는 부분이 재밌었다. 앵글은 그대로인데 클로즈업이 많다 보니까 연기적으로 좀 더 고민하는 부분이 재밌었던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연기보다 제가 거의 모든 회차에 다 나왔다는 점이 좀 힘들었다"면서 "또 핸드폰도 그렇고, 코인 화면도 그렇고 다 블루 스크린이었다. 촬영 당시에는 블루 스크린 띄워서 찍다 보니까 '내 표현이 괜찮은 건가?' 고민해서 감독님과도 약한 버전도 찍고, 강한 버전도 찍었던 것 같다. 완성된 장면을 보니까 너무 리얼하더라"라고 설명했다.
영끌족이라는 현실적인 캐릭터를 연기한 강하늘은 "사실 제가 가지고 있는 기질과는 다르다. 무언가에 올인해 보는 스타일이 아니라서 그 단어는 알았지만, 이 작품을 위해 따로 검색해 봤다. 실제로 꽤 많은 것 같더라"라며 "제가 연기하면서 제일 먼저 표현하려고 했던 건 모든 걸 올인한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치열함이었다. 그 치열함의 불이 꺼졌을 때 오는 처참함을 표현해 보고 싶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제가 연기할 때 두 개 중 하나는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공감하거나 이해할 수 있거나. 우성 캐릭터는 이해는 가지만, 제가 공감하지는 못했다. 그런 캐릭터를 연기한 적은 굉장히 많다"고 덧붙였다.
강하늘은 체크카드만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실제로 재테크를 하지 않는다며 "주변에서 바보짓이라고 하는데 할 성격이 안 된다. 전 체크카드만 쓰는 사람"이라며 "부모님이 맨날 재테크를 하거나 건물을 사라고 하긴 한다. 아직 제가 원해서 내 걸 소유하고 싶다는 건 없다. 세내면서 주인분이 관리해 주는 게 편하기도 하고, 내가 집주인이 되면 관리를 내가 해야 하는 건데 제가 아직 뭘 몰라서 그런 걸 수도 있는데 재테크는 아직 제 스타일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