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지원 하이브 CEO(최고경영자)가 이성수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 대표가 제기한 이수만 SM 전 총괄 프로듀서(이하 이수만)의 역외탈세 의혹에 "결코 일어날 수 없다"고 밝혔다.
17일 가요계에 따르면 박지원 CEO는 이날 오전 전 직원을 대상으로 이수만의 역외탈세 의혹과 관련 사내 이메일을 보내왔다.
박지원 CEO는 전날 이성수 대표가 언급한 의혹들을 두고 "과거사"라고 한정하며 "앞으로 하이브와 SM이 원칙대로 투명하게 이끌어갈 미래에는 성립되지 않을 이슈"라고 말했다. 또한 계약서와 관련해 "이수만과 SM과의 거래를 거래 시점 기준으로 모두 중단시키거나 해제하는 포괄적인 문구를 계약서에 삽입했다"며 "공시돼야 했으나 공시되지 않았을 수도 있는, 우리가 미처 파악하지 못한 거래를 모두 차단하는 방법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SM 현 경영진이 주장하는 'CTP를 통해 SM 수익의 역외 탈세가 이뤄지는 비윤리적인 운영 방식' 또한 지분 인수 계약으로 인해 전제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라고 설명하며 "(이수만의) 해외 프로듀싱을 통한 SM 프로듀싱에의 개입, 해외 자회사들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이전은 없다"라며 재차 강조했다.
또한 SM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캠페인과 관련해 "지분 인수 과정이 완료되고 나면 글로벌 기업이자 K팝 산업을 이끄는 대표 기업이 응당 지켜야 할 기준에 맞게 투명하고 적법한 방식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전했다.
전날 SM 이성수 대표는 개인 유튜브 채널을 통해 이수만의 역외탈세 의혹을 제기했다. 이성수 대표는 이수만이 개인법인 CT Planning Limited(이하 CTP)를 설립해 SM 아티스트 웨이션브이, 에스파, 슈퍼엠 등 해외 음반 유통 수익 등을 선취했다고 말했다. CTP를 '해외판 라이크 기획'이라고 칭하는 이성수 대표는 "본래 SM과 레이블사가 먼저 수익배분을 하고 SM에 정산된 금액에 대해 라이크기획과 이수만이 6%를 지급받아야 하지만 구조를 바꾼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하이브는 공식 입장을 통해 "이수만은 SM과 관련 없는 개인 차원의 프로듀싱 업무를 해외에서 할 수 있다며 3년이 지난다고 SM으로 복귀하는 걸 의미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또한 이수만의 CTP에 대해 "전달받은 바 없다. SM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선 주식매매계약에 따라 이를 종결시킬 것입니다. 이수만 전 총괄이 추진하는 개인 활동이 SM과의 연계성이 없다면 관여하지 않으며, 이수만 전 총괄이 추진하는 ESG 활동의 세부 내용에 대해 전달받은 바 없다"라고 선을 그었다.
SM은 다음 날인 17일 또 한 번의 공식 입장을 통해 "'해외판 라이크 기획'인 CTP는 실체를 숨기기 위해 SM이 아닌 해외 레이블사와 직접 계약을 체결했으며 SM과 거래 관계가 없다"라며 "하이브가 계약 종결로 해소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하이브의 입장은 CTP의 본질적 문제인 역외탈세 의혹을 왜곡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안윤지 기자 zizirong@mtstarnews.com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