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지예 녹색당 서울시당위원장과 강연재 변호사가 지난 7일 혜화역 집회서 일부 참가자가 외친 '곰' '재기해' 등 구호를 외친 것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지난 9일 방송된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서는 신지예 위원장과 강연재 변호사가 출연해 지난 7일 혜화역에서 벌어진 불법 촬영 편파수사 규탄 집회와 관련해 이야기나눴다.
해당 집회에서 문제가 된 것은 일부 참가자가 외친 '재기해'와 '곰'이라는 두 구호. '재기해'는 2013년 고(故) 성재기 남성연대 대표가 마포대교에서 투신한 것을 빗댄 은어이고, '곰'은 문을 뒤집어 글자를 아래로 향하게 해 두 단어 모두 '투신하라'라는 의미로 극우 성향 커뮤니티 '일간베스트'나 급진적 페미니즘 표방 커뮤니티에서 쓰는 표현으로 알려졌다.
이날 방송에서 신지예 위원장은 해당 구호에 대해 "그 시위 주최측이 그 구호를 전면적으로 내보낸 것은 아니다"라며 "시위 참여자분이 이야기하셨던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지예 위원장은 "그런데 주최측 추산 6만 명 정도 시민분들이 모이면 다양한 목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다"라며 "특히나 지금 여성운동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우리 사회에 뿌리 깊게 박혀 있는 여성혐오를 없애자라고 이야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는 어떤 부분 좀 과격한 이야기들이 나올 수도 있다"라고 생각을 밝혔다.
다만 신지예 위원장은 해당 구호가 소비되면서 시위의 본질이 흐려지고 있는 것을 우려했다. 그는 "그것에 너무 주목해서 여성들이 얘기하고 있는 것은 굉장히 잘못됐고 불법적이고 폭력적이다라고 하면 '우리는 불법 촬영 문제를 해결하기를 원한다'라는 이 목소리가 오히려 더 삭제되는 것이 아닌가 좀 걱정스럽다"라며 "지금 언론들이 오히려 더 자극적으로 이 시위와 여성들의 구호를 소비해 버리면서 시위의 본질을 좀 비껴나가고 있는 측면이 있다"라고 말했다.
강연재 변호사는 해당 구호를 직접 언급했다. 강연재 변호사는 "'곰'이라든지 '재기해' 이 두 단어 가지고 그러는 것 같다"라며 "사실 곰은 왜 그게 혐오발언인지 모르겠다. 아주 귀여운 수준 아닌가. '재기해'라는 것도 저는 딱 보자마자 무슨 뜻인지도 몰랐다. 그래서 굉장히 은유적인 표현을 쓴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것을 문재인 대통령을 비하했다, 혐오했다 이렇게 가져갈 것이 아니다"라며 "우리 여성들이 바라는 것은 정책과 법률로써 정부가 강력한 힘을 가지고 해결해 줘야 하는 일을 권력의 1인자를 향해서 빨리 해결해 달라는 취지로 이해하면 된다"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