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강지환 "명백한 잘못있으면 숨었을 것..정면돌파"(인터뷰)

강지환 "명백한 잘못있으면 숨었을 것..정면돌파"(인터뷰)

발행 :

최보란 기자
배우 강지환 / 사진=구혜정 기자
배우 강지환 / 사진=구혜정 기자


테이블 위 세팅해 놓은 금화와 금괴 모형이며 SBS 드라마 '돈의 화신' 대본, 주요 에피소드 장면들을 사진으로 정리해 놓은 보드...


배우 강지환(36)을 인터뷰하기 위해 찾은 삼청동의 한 카페로 들어선 순간부터 그가 드라마에 쏟았던 애정과 열정을 느끼게 했다.


인터뷰를 하는 중간에도 필요하면 보드에 붙여진 사진들을 짚어가며 어떤 생각을 가지고 연기를 했는지, 어떤 뒷이야기가 숨어 있는지 등을 웃으며 이야기하는 그의 모습은 여전히 이차돈 그대로였다.


"억울하고 답답했지만 연기로 말하고 싶었다."


'돈의 화신'은 복수극이라는 기본 장르에 코믹 멜로 스릴러 액션 등 다양한 장면이 담긴 드라마. 주인공 이차돈 역을 맡은 강지환에게는 극과 극을 오가는 장르와 이야기를 소화해야 했기에 연기를 하는 데 결코 쉽지 않았지만, 답답했던 자신의 마음을 열어줬기에 더 없이 고마운 작품이다.


"연기를 빨리 하고 싶은데 외적인 요인들로 막히고 답답해서 더 간절했다. 한 가지 캐릭터가 아니라 스펙터클한 감정을 뿜어내기에는 이만한 작품이 없다고 생각했다. 코믹, 멜로, 액션, 스릴러가 집약돼 원 없이 뿜어냈던 것 같다. 무엇보다 작가님과 감독님이 제 작품을 보고 캐스팅을 정하셨다고. 시끄러운 일도 있었는데 이해해주시고 기다려 주셔서 감사했다."


드라마 캐스팅 당시 강지환은 전 소속사와 계약 문제로 마음고생을 했던 상황. 일찌감치 '돈의 화신'캐스팅이 됐으나 구설수에 오르면서 드라마 출연 여부에 시선이 쏠렸다. 그는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오직 연기로 말하겠다는 각오로 '돈의 화신'에 임했다. 특히 힘든 상황을 정면 돌파하는 이차돈의 캐릭터는 자신과도 겹쳐보였다고.


"극중에서 이차돈이 '죄를 지은 사람들에게 정공법으로 심판을 하겠다'고 하는 부분이 있다. 제가 마약이나 음주 등 명백한 잘못이 있었으면 오히려 숨었을 것이다. 저는 법적으로나 심적으로나 당당했다. 많이 억울하고 답답했지만 배우는 연기로 승부를 봐야한다고 생각했다. '돈의 화신'을 접했을 때 모든 감정을 집약해서 뿜어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개인적인 복수보다는 법으로서 정면 돌파하는 면이 와 닿았다. 제게는 연기가 가장 큰 무기였고, 이를 통해 모든 게 밝혀지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했다."


배우 강지환 / 사진=구혜정 기자
배우 강지환 / 사진=구혜정 기자

"코믹부터 슬픔까지, 극과 극 연기 쉽지 않았죠."


강지환의 말대로 다양한 장르가 섞여 있는 '돈의 화신'에서 처절한 복수와 코믹함을 오가는 주인공으로 감정 연기가 쉽지 않았을 것. 이를 통해 그는 그간의 연기를 총 망라하는 연기를 펼친 듯한 느낌이라고 되뇌었다.


"초반부터 다른 사람은 정극연기인데 저는 코믹한 장면이라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 아무래도 코믹을 하다가 정극연기를 갈아타는 게 힘든데 회가 갈수록 한 회에 절정의 슬픔이나 분노, 코믹까지 오가는 경우가 많았다. 코믹한 연기가 너무 강하면 슬픈 장면에서 이질감을 느낄 수 있는데, 무난하게 조화를 이룬 것 같아서 만족스럽다. 배우들 연기로 탄력을 받으면서 시청자들도 작품으로 좋게 봐 주신 것 같다."


특히 이 같은 감정의 왕복이 가장 극적으로 드러난 것은 이차돈이 어머니가 있는 정신병원에 잠입하기 위해 여장을 하고 '나는 조선의 국모다'라고 외치는 장면이었다. 그 바로 뒤에는 어머니가 죽음을 맞는 극도의 슬픈 장면이 연결돼, 시청자들을 몰입하게 하기 위해선 배우가 먼저 감정에 집중해야 했다.


"처음 대본에는 반은 남자, 반은 여자인 아수라 백작 콘셉트였다. 분장 팀은 뽀글파마 가발에 스타킹을 준비했더라. 근데 그걸 쓰면 너무 코미디가 돼서 이후 슬픈 장면이 이질감을 줄 것 같았다. 그래서 제가 신사임당 이미지로 아이디어를 냈다. 한복을 입고 올림머리를 하면 오버하지 않아도 충분히 작가님이 하신 말씀이 다 표현될 것 같았다. 그러다 명성황후 이미지로 연결돼서 '나는 조선의 국모'라고 외치는 장면이 완성됐다."


극중 이차돈은 자신을 고아로 만들고 집안을 풍비박산 낸 원수 지세광(박상민 분)이 끝까지 죄를 뉘우치지 않자, 법을 통해 그를 처벌하고자 했다. 그러나 결국 지세광은 자살로 최후를 맞았다. 24부 동안 이차돈으로 살았던 강지환은 이 같은 결말을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복수의 감정으로 끝났으면 이렇게 좋은 평을 받지는 못했을 것이다. 대사에서 나오기도 하지만 죄를 지은 사람은 죄를 뉘우치는 사람, 그렇게 못 하는 사람이 있다. 그런 사람에게도 법이 존재해서 최소한 벌은 줄 수가 있다. 결말은 여러 사람들에게 만족을 주는 방향으로 마무리 된 것 같다. 이차돈이 뭔가를 하는 것보다, 법으로 벌을 주고자 했고. 결국 각자의 성향에 따라 벌을 받았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 무엇보다 힘들었던 이차돈이 행복을 찾는 모습이 시청자들이 원하는 결말이 아니었을까."


배우 강지환 / 사진=구혜정 기자
배우 강지환 / 사진=구혜정 기자

"개성강한 목소리 때문에 아나운서 학원도 다녀봤다."


'돈의 화신' 속 이차돈을 떠올릴 때 트레이드가 바로 하트 모양 헤어스타일. 좀처럼 보기 힘든 머리 모양이었기에 특별한 의도가 있었는지 궁금했다.


"제가 역할에 따라 포인트를 주는 것을 좋아한다. '내게 거짓말을 해봐'에서는 부토니에(양복류의 단춧구멍에 꽂는 꽃장식)를 사용했었는데, 이번엔 검사 역할이다 보니까 옷도 무채색을 주로 입고 매일 비슷한 의상이라서 고민하다 머리를 바꿔봤다. 팬들이 하트머리로 기억을 해주셨는데, 코믹과 진지함을 모두 소화해야 하는 캐릭터로서 비주얼 자체가 범상치 않다고 하면 성향을 표현하는 데 용이했다고 생각했다. 안경을 썼거나 지세광처럼 올백머리를 한 이차돈을 상상해 보라.(웃음)"


강지환을 떠올리면 많은 사람들이 얘기하는 특징 중 하나가 바로 목소리다. 배우로서 개성 있는 목소리는 강점이 될 수 있지만, 한편으론 제약이 될 수도 있을 터. 캐릭터를 표현하는 데 외적으로도 많은 신경을 쓰는 강지환이기에 목소리에 있어서도 스스로 생각을 해봤음직하다.


"사실 목소리 때문에 노력을 많이 했다. 남자배우는 중저음에 발음도 정화해야 된다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아나운서 양성학원도 다녀보고 노래도 해보고 그러다 포기를 했다. 배우라는 게 똑같을 순 없지 않나. 다양한 인물을 하는데 굳이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고 생각한다. 화가 나면 말보다는 얼마만큼 화났느냐가 보여야 된다고 생각했다. 오히려 눈빛, 호흡, 감정에 충실하면 전달될 거라고 생각했다. 제 연기는 FM이 아닌 자유롭게 하는 스타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버텨오지 않았나 생각한다."


'돈의 화신'으로 여러 감정을 연기로 풀어내고 난 뒤 그는 한결 평온하고 자신감을 얻은 모습이었다.


"너무 힘들게 합류하고 힘들게 찍었던 작품인데 고생이 헛되지 않았다는 것을 여러 가지 반응이나 댓글 기사로 느끼고 있다. 배우는 연기로 승부를 보고 연기로 말해야 한다는 것을 믿고 이 작품을 했는데 그 말이 맞았다고 느끼게 해 주셔서 감사하다."


그래서 일까. 10년간 수많은 작품으로 만났던 강지환이지만 새로운 전환점을 맞은 그가 이제 연기 인생 2막을 열 것임을 직감할 수 있었다.


"'돈의 화신'을 마친 뒤 쉬고 싶다는 생각보다는 하고 싶은 연기 마음대로 하고 싶다. 예전에는 사실 금전적인 문제나 여러 상황을 보고 소속사와 같이 작품을 결정했는데 이제는 하고 싶고 좋아하는 연기를 많이 해보고 싶다. 몸이 더 망가지기 전에 액션물도 해보고 싶고, 무거운 역할도 해보고 싶다. '돈의 화신'에서 총망라된 장르를 한 카드 씩 뽑아 선보이고도 싶다. 몸이 근질거리는 것 같다."


주요 기사

    연예-방송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방송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