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현의 자유는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가지는 권리이며 민주주의의 필수불가결한 기본권이라 할 수 있다.
지난 9일 종합편성채널 TV조선 '강적들'에서는 출연진들이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의 내부 갈등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습이 그려졌다. 이날 이윤석의 "야당은 전라도당이나 친노당이라는 느낌이 있다. 저처럼 정치에 별로 관심 없었던 사람들은 기존 정치인이 싫다"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논란이 일었다. 문제가 된 것은 이윤석이 KBS 1TV '역사저널 그날'에 출연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가 정치적 발언 한 '강적들'은 유명인사들이 둘러앉아 정치, 시사 관련 문제에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는 프로그램이기에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다수 시청자들은 자칫 그의 정치적 색깔이 객관성이 담보되어야 할 역사 프로그램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로 이어지며 '역사 저널 그날'에서 하차하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온라인 상에서 찬반 논란이 뜨겁다. 일각에서는 "이윤석은 자유롭게 정치적 견해를 밝히는 프로그램에서 말한 것인데 왜 '역사 저널 그날'에서 하차해야 하냐.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며 하차 논란은 지나치다고 주장하고 있다.
비평가 진중권도 15일 트위터에 "이윤석 발언. 다소 거슬리긴 하나, 하차 요구하거나 그러지 말았으면. 표현의 자유는 폭넓게 인정해야 합니다. 이 정도의 발언에 시비를 걸면, 반대편에서도 비슷한 시비를 걸 것이고, 그러면 우린 아무 말도 못하게 됩니다"라는 의견을 나타냈다.
그러나 "편협한 정치시각을 가진 사람에게 역사를 다루는 프로그램을 맡겨선 안된다"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사실 유명 연예인의 정치적 발언 논란은 처음이 아니다. 김제동, 이승환, 이효리, 김미화 등 연예인들의 정치발언은 항상 이슈로 떠올라 갑론을박이 벌어지곤 했다. 연예인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기에 대중을 움직일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어 발언을 조심해야 한다는 입장과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것은 개인의 자유이며 사회의 잘못된 부분을 꼬집는 것 또한 '공인'으로서 해야 할 일이라는 입장으로 갈라져 대립하고 있다. 연예인이 '공인'인지 아닌지에 대한 입장 차도 매우 크다.
이 문제는 여전히 '뜨거운 감자'로 남아있다. 다른 직업보다 유독 연예인에게 도덕적 잣대를 더 엄격하게 들이대는 한국의 사회 분위기에서 스타가 자신의 소신을 밝히는 일은 여전히 금기시 되고 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