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설민석, 역사왜곡→논문표절 의혹 인정 "누를 끼쳐 죄송"[종합]

설민석, 역사왜곡→논문표절 의혹 인정 "누를 끼쳐 죄송"[종합]

발행 :

윤상근 기자
한국사 전문가 / 사진제공=문화재청
한국사 전문가 / 사진제공=문화재청


스타 역사 강사 설민석이 역사 강의 왜곡 및 오류 논란에 이어 석사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추가로 불거지며 결국 활동 중단이라는 결말을 맞이하게 됐다.


설민석은 29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장문의 글을 남기고 "석사 논문 표절 사태로 많은 분들께 불편과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합니다. 머리 숙여 사죄합니다"라고 자신의 논란에 대해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설민석은 "2010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과 석사 논문으로 제출한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서술에 나타난 이념 논쟁연구'를 작성함에 있어 연구를 게을리하고, 다른 논문들을 참고 하는 과정에서 인용과 각주 표기를 소홀히 하였음을 인정합니다"라며 "변명의 여지가 없는 저의 과오입니다. 교육자로서,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안일한 태도로 임한 점 다시 한 번 깊이 사과드립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설민석은 "제 강의와 방송을 믿고 들어주신 모든 분들, 학계에서 열심히 연구 중인 학자, 교육자분들께 누를 끼쳐 죄송합니다.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모든 일에 더 신중히 임하겠습니다"라며 "저에게 보내주셨던 과분한 기대와 신뢰에 미치지 못해 참담한 심정입니다. 저는 책임을 통감, 앞으로 출연 중인 모든 방송에서 하차하겠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앞서 이날 디스패치는 29일 설민석의 2010년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을 입수해 표절 심의 사이트 '카피킬러'로 검사한 결과, 표절률이 52%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설민석의 논문은 747개 문장으로 이뤄져 있으며, 100% 표절률을 기록한 문장은 187개, 표절 의심 문장은 332개다. 이 매체는 "일부 문장은 '복붙'했고, 일부 단락은 '짜깁기'를 했다"고 주장했다.


설민석은 단국대학교 연극영화과를 졸업한 이후 연세대 교육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사 강사로 활동한 설민석은 최근까지 MBC '선을 넘는 녀석들', '설민석의 벌거벗은 세계사' 등 역사 관련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이름을 알렸다.


하지만 '설민석의 벌거벗은 세계사'가 최근 역사를 왜곡해 강의를 했다는 지적을 받았고, 설민석은 자신의 유튜브를 통해 "내가 많이 부족하고 모자라서 생긴 부분 인 것 같다"고 고개 숙여 사과한 바 있다.


이에 더해 설민석은 음악 역사에 대해 일부 밝혔던 내용이 오류가 있다는 일각의 지적을 받기도 했다. MBC '배철수의 음악캠프' 작가로도 활동 중인 배순탁 작가는 설민석이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한 '노동요에 선덕여왕이 왜 나와'라는 제목의 영상에서 "재즈가 초심을 잃어서 R&B가 탄생했다"라는 취지의 내용을 전하고 "프랑크 시나트라 이후 백인이 흑인 음악을 불렀다. (흑인들은) 초심을 잃었다 이거다. 그래서 흑인들만의 르네상스가 시작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배순탁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이 내용을 전면 비판했다. 배순탁은 "아무런 공부 없이 내뱉은 발언이 오늘 또 터졌다. 정말 묻고 싶다. 재즈, 블루스, 일렉트릭 블루스, 리듬 앤 블루스, 초기 로큰롤에 대한 역사를 다룬 원서 한 권이라도 본 적 있냐고. 없을 게 분명하다"라고 강조하고 "만약 읽었다면 그런 말도 안 되는 소리는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 정도면 허위사실 유포나 마찬가지"라고 전했다.


배순탁은 이어 "재즈가 회귀해 돌아간 게 리듬 앤 블루스라는 건 완전한 헛소리다"라고 반박하고 "리듬 앤 블루스는 간단하게 미국 남부의 (델타) 블루스가 일리노이 중앙선 철도기차 타고 북부 대도시 (정확하게는 시카고)로 진출한 뒤 '일렉트릭'화 된 장르다. 그래서 일렉트릭 블루스라고도 부른다. 이게 나중 로큰롤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순탁은 "왜 자꾸 설익은 걸 넘어 '무지'에 가까운 영역에까지 손대려 하는지 모르겠다"라고 지적했다.


추천 기사

연예-방송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방송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