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news

"다양한 기회 주어지길" 조연배우가 말하는 'K-콘텐츠' 부흥[★창간19 인터뷰-별의별답②]

발행:
김노을, 안윤지, 김나연 기자
<편집자주> 빛나는 별이 되기 위해 사막을 거니는 사람들, 화려한 K-콘텐츠 부흥 속 세상이 명명한 '무명'의 이름으로 어둠을 견디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별에게 묻고, 별에게 답을 듣는 시간 '별의별답'.
배우 황인덕 /사진=김창현 기자 chmt@
배우 황인덕 /사진=김창현 기자 chmt@

- 인터뷰①에 이어


K-콘텐츠의 부흥을 이야기할 때 OTT(Over The Top)의 강세를 빼놓을 수 없다. 넷플릭스가 국내 시장 영향력을 확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도 K-콘텐츠가 있었다.


넷플릭스는 지난 2016년 봉준호 감독의 영화 '옥자'를 시작으로 국내 시장에 진출했고, 이후 '킹덤', '오징어 게임', 'D.P.', '더 글로리', '스위트홈', '소년심판', '수리남', '인간수업' 등이 K-콘텐츠 흥행을 이끌며 글로벌 사랑을 받았다.


그렇다면 주연이 아닌 조·단역 배우는 이 같은 전세계적 영향력을 체감하고 있을까. 황인덕은 OTT의 강세 속 파이가 커지는 상황과 기회의 다양성이 열린 것을 체감하냐는 질문에 "어느 정도 느끼고 있지만 피부로 와 닿지는 않는 것이 사실"이라고 답했다.


배우 황인덕 /사진=김창현 기자 chmt@

그러면서도 "작품에서는 대중적인 측면을 무시할 수 없지 않나. 드라마라면 시청률, OTT라면 화제성, 영화라면 관객수 등 필수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요소들이 있기 때문에 유명 배우들이 활약을 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분들이 활약을 전방위적으로 해주시는 만큼 우리에게도 그 기회가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황인덕은 주로 연극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다. 지난달 9일부터 13일까지는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 위치한 여행자극장에서 극단 다이얼로거의 신작 '고잉 다운 투 모로코'(Going Down To Morocco) 무대로 관객들과 만났다.


연기와 무대를 사랑하는 마음 하나만으로 의기투합했지만 크고 작은 고충도 존재한다. 실제로 다양한 극단 및 연극 제작사가 재정난 끝에 존폐의 기로에 서기도 한다. 오로지 극단원들의 열정과 재능에만 의지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현실, 결국 예술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단체나 기관의 빈자리가 너무도 크다.


/사진=김창현 기자 chmt@

이와 관련해 황인덕은 "제작비가 작은 상태에서 수익을 내기란 쉽지 않은 것 같다. 국가에서 지원하는 사업을 따와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팀원들 교통비, 무대 세트비, 제작비, 인건비 등을 제하면 남는 게 없다. 관객 수입이 흑자로 잡혀야 하는데 그게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공연쪽은 투자가 적으니 어려울 수밖에 없는 것 아닌가 싶다"고 털어놨다.


자신과 동료들의 출연료가 적정한 수준이냐고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굉장히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기본적으로 지킬 건 지켜서 지급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라고 말했다.


- 인터뷰③에 계속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300만 앞둔 '귀멸의 칼날 : 무한성편' 日 성우 내한
진선규 '시크한 매력'
'13회 부코페 개막합니다'
'살인자 리포트, 믿고 보세요'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10주년 AAA 2025' 최정상 아티스트 한자리에!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홍명보호 악재' 황인범 부상, 9월 A매치 불참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