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news

'범죄도시3'로는 역부족..올 상반기 韓 영화, 팬데믹 이전 절반[★FOCUS]

발행:
김나연 기자
사진=각 영화 포스터
사진=각 영화 포스터

올해 상반기 한국 영화 매출액은 2122억 원으로, 팬데믹 이전인(2017년~2019년)의 54% 수준을 기록했다. '범죄도시3'가 천만 관객을 돌파하며 선전했지만, 단 한 편으로는 역부족이었다.


26일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2023년 상반기 한국 영화산업 결산 발표'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체 매출액은 6078억 원으로, 2017년~2019년 같은 기간 평균(8309억 원)의 72.5% 수준을 기록했다. 상반기 전체 관객 수는 5839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9% 증가했다.


다만, 한국 영화 매출액은 2122억 원으로 2017년~2019년 같은 기간 평균(3929억 원)의 54% 수준에 그쳤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5.9% 감소했다. 2023년 상반기 한국 영화 관객 수는 2105만 명으로 2017~2019 년 같은 기간 평균(4782만 명)의 44.0% 수준을 나타냈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6.3%(141만 명) 감소했다.


특히 '범죄도시3' 개봉 이전까지 상반기 기준으로 매출액 200억 원, 관객 수 200만 명을 넘긴 한국 영화는 단 한 편도 없다. 이렇듯 한국 영화의 부진이 이어진 탓에 상반기 한국 영화 매출액은 코로나 19 팬데믹 이전 시기 평균의 절반을 겨우 넘겼으며 , 상반기 한국 영화 관객 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시기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2023년 상반기 한국 영화 매출액 점유율 34.9%로 전년 동기 대비 14.9%p 감소했고, 한국 영화 관객 수 점유율은 36.0%로 전년 동기 대비 14%p 감소했다.


한국 영화와는 달리, 외화 매출액은 3956억원으로 2017~2019 년 같은 기간 평균(4461억 원)의 88.7% 수준을 기록했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74%(1683억 원) 증가했다. 2023년 상반기 외국 영화 관객 수는 3734만 명으로 2017~2019년 같은 기간 평균(5317만 명)의 70.2% 수준을 나타냈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66.1%(1486만 명) 증가했다.


외국 영화는 영화관 관람가격 인상과 더불어 특수 상영 매출 비중이 높은 '아바타: 물의 길'과 '스즈메의 문단속', '더 퍼스트 슬램덩크' 등 일본 애니메이션의 흥행으로 상반기 매출액이 2017~2019년 같은 기간의 평균에 근접했다 . 일본 영화 매출액은 1315억 원, 관객 수는 1268만 명으로 전국 기준의 국적별 점유율 집계를 시작한 2008년 이후 연도별 기준으로 역대 최고 일본 영화 매출액 , 관객 수를 올해 상반기에 이미 기록했다.


'범죄도시3'가 올 상반기 흥행 1위에 오르며 한국 영화의 자존심을 지켰다. '범죄도시3'는 매출액 985억원 (관객 수 997 만명)으로 올 상반기 흥행 1위에 올랐고, '스즈메의 문단속', '더 퍼스트 슬램덩크', '아바타: 물의 길',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에 올 하반기 개봉하는 한국 영화들에 시선이 쏠리는 상황. 우선, '밀수'를 시작으로 '더 문', '비공식작전', '콘크리트 유토피아' 등 텐트폴 영화들이 여름 극장가에 포진한 가운데, 관객들의 선택을 받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권은비, 가까이서 보고 싶은 미모
KBS에 마련된 故이순재 시민 분향소
농구 붐은 온다, SBS 열혈농구단 시작
알디원 'MAMA 출격!'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왜 하루 종일 대사 연습을 하세요?"..우리가 몰랐던 故 이순재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프로야구 FA' 최형우-강민호 뜨거운 감자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