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news

"축구 올림픽 첫 金 가장 기대" 남성 40% 갈망... 여성 1위는 '다이빙' [창간20 x 갤럽 설문]

발행:
수정:
신화섭 기자
한국 축구 대표팀 선수들이 2012 런던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따낸 뒤 기뻐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국 축구 대표팀 선수들이 2012 런던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따낸 뒤 기뻐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그래픽=스타뉴스

1948년 런던 올림픽에 처음 출전한 한국은 1976년 몬트리올 대회에서 레슬링 양정모가 사상 첫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후 이번 파리 대회까지 한국이 하계 올림픽에서 따낸 금메달 수는 16개 종목에서 총 109개. 이른바 '효자 종목'으로 불리는 양궁이 32개로 가장 많고 태권도 14개, 유도와 레슬링 각 11개, 사격 10개, 배드민턴과 펜싱 각 7개로 뒤를 잇는다.


그러나 아직 금메달과 인연을 맺지 못한 종목도 많다. 그 중에서도 우리 국민이 첫 금메달을 가장 갈망하는 종목은 무엇일까.


스타뉴스가 창간 20주년 기념으로 한국갤럽에 의뢰해 전국 만 19~69세 남녀 10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하계 올림픽에서 첫 금메달이 나오기를 가장 기대하는 종목'으로 '축구'가 응답자의 32%(이하 1·2순위 합계)의 선택을 받아 1위를 차지했다.


한국 남자 축구는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홍명보(55) 감독의 지휘 아래 사상 처음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 외에는 8강 진출이 4차례 있었을 뿐이다. 더욱이 이번 파리 올림픽에서는 지역 예선에서 탈락해 1988년 서울 대회부터 이어오던 9회 연속 본선 진출 행진을 마감했다. 여자 축구는 1996년 올림픽에 신설된 이후 한 번도 본선에 나서지 못했다.


성별로는 남성 응답자 중 40%가 축구를 꼽아 여성(24%)보다 더 금메달을 고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60대 남성의 응답률은 각각 42, 40, 43%에 달했다.


우상혁. /AFPBBNews=뉴스1

다음으로는 '육상(필드/트랙)'이 27%로 뒤를 이었다. 한국은 마라톤에서 황영조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금메달을 따내긴 했으나 필드와 트랙 경기에서는 아직 단 1개의 메달도 얻지 못했다. 파리 올림픽에서는 우상혁(28·용인시청)이 남자 높이뛰기에서 첫 메달에 도전했으나 결선 7위에 머물렀다.


'수영(다이빙/아티스틱 스위밍)' 역시 27%의 응답률로 공동 2위에 올랐다. 한국은 수영 경영에서는 박태환(35)이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남자 자유형 400m에서 금메달을 차지했으나 다이빙과 아티스틱 스위밍에서는 아직 메달이 없다. 특히 이 종목은 여성 응답자로부터 축구(24%)와 육상(필드/트랙·23%)을 제치고 가장 많은 선택(32%)을 받아 눈길을 끌었다.


4위는 19%를 얻은 '근대 5종'이었다. 한국 근대 5종은 2020 도쿄 올림픽에서 남자부 전웅태, 파리 올림픽에서 여자부 성승민이 각각 동메달을 따내는 성과를 올렸으나 금메달은 없었다. 1976년 몬트리올 대회에서 여자부 동메달의 쾌거를 이룩한 '배구'는 12%로 5위에 자리했다. 배구는 남성(8%)보다 여성(15%)의 지지가 높았다.


이밖에 스포츠 클라이밍(11%), 리듬체조(10%), 테니스(10%), 농구(8%), 브레이킹(7%) 순으로 첫 금메달을 기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이번 파리 올림픽이 개막하기 전에 가장 큰 관심을 가진 한국 선수 출전 종목'에 대한 설문에서는 양궁(63%)이 압도적인 선택을 받았고, 펜싱(20%), 탁구(18%), 배드민턴(16%), 사격(12%)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 8월 19~23일 온라인을 통해 진행했으며, 2024년 7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치(셀가중)를 부여했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0%포인트이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권은비, 가까이서 보고 싶은 미모
KBS에 마련된 故이순재 시민 분향소
농구 붐은 온다, SBS 열혈농구단 시작
알디원 'MAMA 출격!'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왜 하루 종일 대사 연습을 하세요?"..우리가 몰랐던 故 이순재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프로야구 FA' 최형우-강민호 뜨거운 감자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