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news

김인식 쓴소리 "대체 왜 일본·대만전에 가장 강력한 박영현 안 썼나... 예선 탈락 기가 막힌 일"

발행:
수정:
김우종 기자
'2024 WBSC 프리미어12' B조 예선 한국-호주전이 18일 대만 티엔무 야구장에서 열렸다. 한국 대표팀이 호주에 5-2로 승리한 뒤 응원단에 인사하고 있다. /사진=김진경 대기자
'2024 WBSC 프리미어12' B조 예선 한국-호주전이 18일 대만 티엔무 야구장에서 열렸다. 한국 대표팀이 호주에 5-2로 승리한 뒤 응원단에 인사하고 있다. /사진=김진경 대기자
류중일(오른쪽) 대표팀 감독이 18일 호주전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김진경 대기자

'국민감독' 김인식(77) 전 한국 야구대표팀 감독이 이번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프리미어12에서 대표팀의 4강 탈락에 대해 깊은 아쉬움을 드러냈다.


김인식 전 감독은 18일 스타뉴스와 통화에서 "기가 막힌 일이다. 어딘가 잘못된 것 같다"고 입을 열면서 안타까운 마음부터 내비쳤다.


김 전 감독은 "야구라는 게 그렇다. 때로는 일반 팬들도 자신의 잣대로 감독처럼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야구가 재미있는 거다. 때로는 오래된 팬들이 (정답을) 맞힐 수도 있는 게 야구다. 그래서 야구의 매력에 빠져드는 것"이라면서 "마찬가지로 감독과 코치도 자기가 생각하는 야구가 옳다고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또 거기에서 빨리 탈피해야 안주하지 않고 발전할 수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국제대회라는 게 단기전이다. 같은 조의 상대 팀들이 결정되면 어느 팀을 잡아야 우리가 상위 라운드에 진출할지 계획이 선다. 이번 대표팀에 선발 투수가 없는 대신 불펜 자원이 많았다면, 그 불펜 투수 중 반 정도를 최정예 필승조로 만들어야 했다. 그리고 우리가 제일 상대하기 힘든 팀과 맞붙을 때 그들(최정예 필승조)을 붙여야 했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번 대표팀의 선발 자원은 고영표(KT)와 곽빈, 최승용(이상 두산), 임찬규(LG)까지 4명밖에 되지 않았다. 대신 정해영, 최지민, 곽도규(이상 KIA), 유영찬(LG), 김택연(두산), 박영현(KT), 조병현(SSG), 김서현(한화) 등 각 팀을 대표하는 위력적인 불펜 자원이 즐비했다.


김인식 전 감독.

김 전 감독은 "단기전을 치르면서 반드시 잡아야 할 경기가 있다. 승리하면 올라가고, 패하면 떨어지는 경기다. 그런 경기에 선발과 불펜의 개념이 어디 있는가. 도대체 왜 박영현이 대만전이나 일본전에서 안 던졌는가. 박영현이 가장 강력한 구위를 갖고 있다면 투입이 돼야 하는 거 아닌가. 꼭 뒤에 나와 던지라는 법이 있는가"라며 탄식한 뒤 "당연히 페넌트레이스라면 많은 경기를 치러야 하므로 무리하면 안 된다. 하지만 국제대회에서는 몇 경기를 하나. 조별예선 5경기를 다 나가라는 것도 아니다. 그 중요한 경기에서 몇 이닝 정도는 던질 수 있는 것 아닌가"라고 쓴소리했다.


이번 대회에서 한국은 박영현이라는 최강의 카드를 가장 중요한 대만전이나 일본전에서 아예 써보지도 못한 채 패하고 말았다. 박영현은 쿠바(1이닝), 도미니카공화국(1⅔이닝), 호주(1이닝)전에 등판해 3⅔이닝 무실점했고, 한국은 3경기를 모두 이겼다.


김 전 감독은 "선발 투수가 없었다고 한다면 불펜에서 가장 강한 투수를 활용해야 하는데, 이미 불이 나서 다 타버린 다음에 나가면 어떻게 하나. 평가전을 치를 때처럼 불펜 투수가 '이닝 쪼개기' 식으로 나갈 수도 있지 않나. 일단 위기에서 실점을 최소화하고 넘어가야, 뒤에 가서 역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라면서 "과거에 제가 지휘봉을 잡을 때 국제대회에서 일본, 대만과 맞붙은 적이 많았다. 그런데 지금까지도 대만이 언더핸드 유형의 투수에 약하고, 일본이 좌완 투수에 약하다는 터무니 없는 분석이 왜 나오는가. 그런 분석과 정보 측면에서도 아쉬운 마음이 든다"고 이야기했다.


김 전 감독은 프리미어12 초대 대회 우승 감독이다. 2015년 첫 대회에서 김인식 감독이 이끈 한국은 조별 예선 통과 후 8강에서 쿠바를 물리쳤다. 일본과 4강전에서는 0-3으로 뒤진 9회초 4득점을 올린 끝에 4-3 대역전승을 일궈냈다. 여전히 명승부로 회자되고 있는 이 경기는 이른바 '도쿄 대첩'으로 불리고 있다. 결국 미국과 결승전에서 한국이 8-0 완승을 거두며 초대 챔피언으로 등극했다.


이어 김경문(66·현 한화) 감독이 지휘봉을 잡은 2019년 제2회 대회에는 일본의 벽에 막히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이번 프리미어12 대회에서는 슈퍼라운드(4강)에도 진출하지 못한 채 오프닝 라운드 탈락이라는 쓴맛을 봤다.


김도영(가운데) 등 한국 대표팀 선수들이 18일 호주에 5-2로 승리한 뒤 응원단에 인사하고 있다. /사진=김진경 대기자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권은비, 가까이서 보고 싶은 미모
KBS에 마련된 故이순재 시민 분향소
농구 붐은 온다, SBS 열혈농구단 시작
알디원 'MAMA 출격!'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왜 하루 종일 대사 연습을 하세요?"..우리가 몰랐던 故 이순재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프로야구 FA' 최형우-강민호 뜨거운 감자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