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이제 락아웃 풀어!" 美 상원의원, ML 직장폐쇄 장기화에 칼 빼든다

"이제 락아웃 풀어!" 美 상원의원, ML 직장폐쇄 장기화에 칼 빼든다

발행 :

양정웅 기자
딕 더빈 미국 상원의원. /AFPBBNews=뉴스1
딕 더빈 미국 상원의원. /AFPBBNews=뉴스1

미국인이 사랑하는 스포츠인 메이저리그(MLB)가 개막전을 맞이할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 가운데, 이제는 정치권에서도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미국 민주당 소속의 상원의원인 딕 더빈(78)은 10일(한국시간) 자신의 SNS를 통해 "구단주들이여, 락아웃을 해제하고 경기를 진행하라"고 호소했다. 일리노이주를 지역구로 하는 더빈 의원은 시카고 컵스의 팬으로 알려졌다.


더빈 의원은 "메이저리그의 직장폐쇄가 시작된지도 거의 100일이 지났다"며 사태의 심각성을 언급했다. 이어 "합법적인 독점권을 행사할 수 있는 메이저리그의 독점금지특례는 이제 다시 생각할 때가 됐다"며 메이저리그에 칼을 빼들 뜻을 밝혔다.


메이저리그는 지난 1922년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결에 따라 반독점법의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 때문에 메이저리그 팀들은 경쟁자 없는 독단적 운영이 가능하게 됐다. 지난 1998년 이른바 '커트 플러드 법'에 의해 선수만이 이 대상에서 제외됐을 뿐 여전히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더빈 의원의 이같은 발언은 이런 메이저리그의 폐쇄적 독점을 겨냥했다. 구단주들과 사무국이 담합해 권리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고, 이 과정에서 선수들은 반발하고 있고 팬들은 경기를 보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독점 지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더빈 의원은 "미국 전역의 팬들은 더 나은 대우를 받을 자격이 충분하다"며 팬들을 위해서라도 지루한 싸움을 멈춰야 한다고 호소했다.


메이저리그 선수노조와 사무국, 구단은 올 시즌을 앞두고 새로 발효되는 노사협약(CBA) 협상을 마무리하지 못했다. 결국 사무국은 지난해 12월 초부터 직장폐쇄를 단행했다. 이로 인한 피해는 모두가 보고 있는 상황이다.


계약을 맺지 못한 선수들은 김광현(34·SSG)처럼 빅리그를 포기하고 아시아 리그로 눈길을 돌리거나 침묵을 지키고 있다. 계약기간 내의 선수들도 경기를 하지 못하면서 급여를 받지 못한다. 그러나 긴 겨울을 깨고 야구라는 봄을 만끽하려던 팬들이 가장 피해자라고 할 수 있다.


/사진=딕 더빈 미국 상원의원 트위터 캡처
/사진=딕 더빈 미국 상원의원 트위터 캡처

주요 기사

스포츠-해외야구의 인기 급상승 뉴스

스포츠-해외야구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