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100분토론' 나꼼수편, 원색적 비난으로 '논란'

'100분토론' 나꼼수편, 원색적 비난으로 '논란'

발행 :

김현록 기자
사진


MBC '100분토론'에 출연한 김진 중앙일보 논설위원의 '나꼼수' 및 인터넷 여론과 관련한 원색적인 비난으로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 13일 밤 방송된 MBC '100분토론'에서는 '나꼼수 현상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주제로 김진 중앙일보 논설위원과 한나라당 강승규 의원, 정청래 전 민주당 의원,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가 패널로 참석해 토론을 벌였다.


김진 논설위원은 이날 방송에서 "많은 사람이 듣기 때문에 많은 영향력이 있다. 언론이나 미디어의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하느냐가 중요하다. 제가 평가하는 기준을 말씀드리면 긍정적인 면은 작고 부정적인 면이 크다고 생각한다. 2대8, 3대7 정도다"라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한국사회에서 풍자의 영역을 넓혔다. 디지털에서 다룰 수 있는 정치사회적 영역을 넓혔고 형식도 자유롭다"며 "대신 부정적인 면들은 미디어의 가장 큰 두가지 생명, 하나는 사실관계, 비평의 대상이 편파적이어서는 안된다는 점에서 중요하고 핵심적인 결여를 갖고 있다. 진보좌파적 이해관계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고 나머지는 비판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정청래 전 의원이 2008년 광우병 촛불집회 당시 중앙일보에서 기자들이 미국산 쇠고기를 먹는 사진을 보도해 사과한 일을 지적하자 "친일 한 번 했다고" 모든 업적이 매도당하는 것과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정 전 의원이 일부 보수매체가 자신과 관련 허위 보도를 했다고 말을 이어가자 말을 끊고 "사회자가 오늘 토론의 질서를 확립해주시길 요구한다"고 하는가 하면 이후에도 정 의원이 조중동 신문을 계속해 비판하자 사회자에게 말을 끊어달라고 재차 요구했다.


이외에도 김 논설위원은 2008년 촛불시위를 "촛불난동"이라고 표현했다. 한국 소통 문화에 대해 "대단히 경박하다. 논점을 제시하는 데 선동과 매도가 횡행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제가 보기에 '나꼼수'는 꼼수 정신이다.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촛불난동 사태 때 새로운 유형의 흐름에서는 새로운 소통의 문화다, 의견을 집단적으로 표출한다고 일부 의미가 있다. 그러나 문제의 본질은 수십일 동안 도심을 무법천지로 만들고 불법폭력을 자행하고 경찰관 2명을 발가벗겨 린치를 가한 난동이지 않았나. 그런 데 대해서는 왜 언급하지 않나. 꼼수 정신이다"라고도 말했다.


김 논설의원의 연이은 비난에 게시판에는 찬반 여론이 들끓었다. 네티즌들은 "사과하라", "촛불 난동이라는 말이 계속 맴돈다. 어떻게 그럴 수가 있나", "나꼼수를 듣지도 않고 토론에 나온 건가"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주요 기사

    연예-방송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방송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