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떨리는 목소리, 추운 날씨 때문 아닌 ‘음성질환’

떨리는 목소리, 추운 날씨 때문 아닌 ‘음성질환’

발행 :

채준 기자
/사진제공=프리나이비인후과
/사진제공=프리나이비인후과


시도 때도 없이 목소리가 떨린다면 음성질환을 의심하자.


겨울에는 추운 날씨로 인해 온 몸은 물론, 목소리도 떨리기 십상이다. 그런데 만약 추위와 관계 없이 평소에도 덜덜 떨리는 목소리를 낸다면 이는 음성질환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목소리를 구성하는 음질, 높이, 크기, 지속시간 등에 문제가 있다면 ‘발성장애’를 의심해야 한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의 질병 세분류(4단 상병)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4년~2018년) 발성장애 환자는 2014년 7,212명에서 2018년 10,588명으로 약 46.7% 증가해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질환인 연축성 발성장애는 말을 할 때마다 목소리가 우는 듯 덜덜 떨리는 증상이 나타나며, 주로 20~30대 젊은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떨리는 목소리를 긴장 탓으로 여겨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과도한 목소리 떨림은 분명한 음성질환인 만큼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하다


안철민 프라나이비인후과 안철민 원장은 “추위로 인해 떨리는 목소리는 몸 전체가 떨리는 과정에서 입 근육도 함께 떨리면서 나타나는 증상이라 소리 자체에는 문제가 없고, 추위가 해결되면 자연스레 사라진다”며, “그러나 연축성 발성장애는 외부적인 요인이 아닌 성대 근육 자체가 긴장해 소리를 내는 과정에서부터 이상이 생기는 것인 만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연축은 1회의 자극으로 근육이 오그라들었다 이완되면서 다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연축성 발성장애는 목소리를 만드는 후두의 근육들에 반복적으로 불규칙한 경련이 오면서 목소리의 이상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외부 환경과 관계 없이 일상 대화를 할 때도 목소리 떨림 증상을 제어할 수 없고, 쉰 목소리와 같은 비정상적인 소리가 동반된다.


주로 20~30대 여성들에게 나타나며,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성대 근육을 조절하는 뇌신경계 이상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인도 모르게 성대 근육에 힘을 주고 말하는 습관이 있거나 자신의 음역대에 맞지 않는 과도한 목소리 사용으로 성대 근육을 긴장시키는 것도 원인으로 작용한다.


주요 기사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인기 급상승 뉴스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