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코로나19 가 바꾼 국내 라면시장 트렌드

코로나19 가 바꾼 국내 라면시장 트렌드

발행 :

채준 기자
/사진제공=농심
/사진제공=농심

올해 코로나19 가 전국을 강타하면서 대표적인 국민식품 라면의 소비에도 변화가 생겼다.


라면시장은 사상 최대 실적을 보였다.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상반기 국내 라면시장은 전년 대비 7.2% 성장한 약 1 조1,300 억원 규모로, 반기 실적으로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위기를 겪으면서 시장은 안정을 택했다. 소비자들은 맛과 품질이 검증된 시장 대표 브랜드를 선택했고, 유통채널에서도 인기제품 위주의 주문이 이어졌다.


온라인 매출 2 배↑

코로나19 영향으로 라면 소비가 늘어나면서 라면시장도 큰 폭의 성장을 보였다. 올 상반기 국내 라면시장은 전년 대비 7.2% 가 늘어난 약 1 조 1,300 억원 규모를 보이며, 반기 실적으로 역대 최대 기록을 달성했다. 2 조원 대에서 횡보하는 라면시장에서 이 같은 반짝 성장은 ‘ 위기에 강한 식품’ 이라는 라면의 특징을 또 한번 증명했다.


또한, 언택트( 비대면) 소비가 확산되면서 온라인에서 라면을 주문하는 소비자들도 늘어났다. 라면은 제품 특성상 주로 대형마트나 집 근처 편의점, 슈퍼마켓에서 구매가 이뤄지기 때문에 온라인 판매 비중은 크지 않다. 하지만, 코로나19 로 소비자들의 장보기가 온라인으로 옮겨가면서 농심의 온라인 라면 판매도 증가했다.


농심은 자체 출고데이터 기준, 올해 상반기 국내 라면매출 중 온라인 채널에 판매한 매출은 약 400 억원 수준으로 전년 대비 2 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소셜커머스에서부터 오픈마켓까지 국내 주요 온라인 채널에서 골고루 매출이 늘었다.




신라면, 짜파게티 등 두 자릿수 성장

코로나19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 국내 식품시장에서는 1 등 브랜드의 가치가 어느 때보다 돋보였다. 라면을 비롯해 즉석밥, 참치, HMR 등 각 분야 대표 브랜드가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았다. 경기불황이나 재해 등 위기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신제품보다 이미 검증된 인기 제품을 구매함으로써 소비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라면시장에서도 신라면을 중심으로 시장을 대표하는 스테디셀러가 진가를 발휘했다. 2 조원 대에 정체된 국내 라면시장이 코로나19 를 만나면서 특수를 누렸고, 대부분 신라면, 짜파게티, 안성탕면, 너구리 등 농심 인기제품들로 쏠림현상이 나타났다.


신라면은 올해 상반기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12.4% 성장했고, 짜파게티는 23.2%, 안성탕면은 34.9%, 얼큰한 너구리는 28.4% 의 성장률로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


농심 관계자는 “ 소비자들뿐만 아니라 대형마트, 편의점, 슈퍼마켓 등 유통채널에서도 가장 잘 팔리고 회전율이 좋은 신라면을 최우선으로 주문했다” 며 “ 농심은 국내 5 개 라면공장을 풀가동하고 생산품목을 조정하면서 수요에 적극 대응했다” 고 말했다.



봉지면 늘고 용기면 줄고

라면시장에서 용기면 수요는 해마다 꾸준히 증가했다. 2016 년 33.2% 에서 지난해엔 37.5% 까지 비중이 늘었다. 1 인 가구가 늘고 편의점 이용이 보편화된 소비 환경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는 코로나19 로 인해 상황이 달라졌다. 재택근무, 개학연기 등 사회적 거리두기로 야외활동이 크게 줄어들면서 올해 상반기 라면시장 용기면 매출 비중은 34.3% 로 떨어졌다.


이처럼 집에서 생활하는 집콕족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라면소비도 봉지면으로 집중됐다. 봉지면은 용기면 대비 저렴한 가격에 양이 많고, 집에서 한끼 식사 대용으로 끓여먹을 수 있어 위기상황에서 가장 먼저 찾는 비상식량으로 평가받는다.


주요 기사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인기 급상승 뉴스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