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김기덕 감독 "예술영화 지원작 후보-심사위원 공개하라"

김기덕 감독 "예술영화 지원작 후보-심사위원 공개하라"

발행 :

김현록 기자
김기덕 감독 / 사진=스타뉴스
김기덕 감독 / 사진=스타뉴스


김기덕 감독이 영화진흥위원회에 예술영화 지원작 리스트와 심사위원 공개를 요청했다.


김기덕 필름은 17일 "영화진흥위원회의 예술영화 지원작 리스트와 심사위원 공개를 요청한다"고 공개 요구했다. 김기덕 필름 측은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는 1억 미만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독립영화 제작지원도 면접후보작을 공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 당 9억 미만의 엄청난 제작비를 지원하는 2016년 예술영화제작지원 사업에서 23편의 후보작들과 심사위원들을 공개하지 않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고 주장했다.


김기덕 감독은 김기덕 필름을 통해 "2016년 예술영화제작지원 사업에 응모했다. 사업의 목적은 창의적인 작품성 있는 예술영화 제작지원을 통해 문화 예술적 차원의 한국영화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품의 제작 도모와 세계적 수준의 국제영화제에서 주목받을 수 있는 영화프로젝트에 지원을 한다고 되어있다. 그래서 최근 10년간 세계 3대 영화제 진출 및 수상 경력의 신청자격이 돼 지원을 했다. 결국 저의 작품은 탈락 됐지만 더 훌륭한 감독과 작품이 선정됐다고 의심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이어 "그러나 영진위는 23편의 지원 후보작 및 제작사, 그리고 심사위원도 공개하지 않은 상황에서 세 편의 작품을 선정하고 18억 원의 지원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베니스영화제에서 영진위 위원장을 만나 지원작 리스트와 심사위원 리스트를 다시 요청했고 공개한다는 약속을 했지만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김기덕 감독은 "세 편의 영화에 18억이라는 엄청난 금액이 지원되는 공모의 지원작 후보명단과 심사위원의 명단이 공개되지 않는 이유를 알고 싶다"고 밝혔다.


김기덕 필름 측은 "심사위원의 공개를 개인의 인격권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18억이라는 엄청난 지원을 하는데 있어서는 투명한 심사가 필수이고, 심사료도 받고 있기에, 심사위원도 공개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이번에 문화인 블랙리스트가 논란이 되는 시점에서 오해를 받지 않으려면 지원작 리스트와 심사위원 리스트가 공개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바로 공개를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영진위는 지난 8월 '2016년도 예술영화제작지원사업' 선정작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박석영 감독의 '재꽃', 황철민 감독의 '여름방학'(제작 씨네굿), 김영남 감독의 '오리의 웃음'(제작 무무픽쳐스) 3편이 선정돼 각각 3억5000만원, 8억5000만원, 7억원 등 총 19억원의 지원을 받게 됐다.


이에 대해 영진위 측은 "수년 전부터 시행돼 왔던 다른 공모사업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됐을 뿐 오해 없길 바란다"고 해명했다.


영진위 태은정 홍보팀장은 "과거엔 우편으로도 신청접수를 받아 이를 확인시키려 지원작 리스트를 공개했다. 2012년 이후부터는 온라인으로 접수를 받아 접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서 이후 공개하지 않았다"며 "독립영화 제작지원처럼 액수가 낮은 것도 공개한다는 언급이 있지만, 1차 합격자 리스트를 심사 중에 발표하는 것일 뿐 전체 지원작을 공개하는 것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태 홍보팀장은 "심사위원 비공개는 당사자들의 요청이 많다. 심사 끝나고 나면 떨어진 분들에게 왜 떨어졌냐는 연락을 받는 등 받고 곤란한 상황이 많더라. 이에 심사위원의 요청으로 특히 올해부터는 대체적으로 공개를 하지 않게 됐다"며 "행정정보공개요청을 하면 관련 절차에 따라 정보열람을 개별적으로는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추천 기사

    연예-영화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영화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