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니백'은 돈가방을 차지하려 뒤엉킨 7명의 이야기입니다. 어머니 수술비를 내야 하는 공시생, 그에게 빚을 받으려는 깡패, 깡패를 압박하는 사채업자, 사채업자에게 선거자금을 받는 정치인, 정치인을 죽이려는 킬러, 킬러에게 총을 갖다줘야 하는 택배기사, 그 총의 원래 주인인 형사가 영화를 이끄는 7인입니다.
속도감 있게 전개되는 돈가방 꼬리잡기에 폭력과 블랙유머, 짠한 페이소스를 버무린 추격전은 지극히 전형적이면서도 그 때문에 생기는 뜻밖의 재미가 있습니다. 김무열, 김민교, 김원희, 전광렬, 이경영, 오정세, 그리고 박희순의 조합도 흥미롭고요.
그럼에도 내내 폭력이 난무하는 B무비는 몇몇 지켜보기 불편한 대목을 담고 있습니다. 김무열이 맡은 주인공, 공시생 민재가 스스로 세상을 등지려 하는 신이 그 중 하나입니다.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뛰며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민재는 잘못 쓴 사채빚 탓에 독촉과 폭력에 시달리는 처지입니다. 내일까지 어머니 수술비를 마련해야 해 집 보증금까지 뺐는데, 잘못 발을 들인 사설 게임장에서 피같은 돈을 깡패에게 뺏겨버리고 그만 극단적 결심을 합니다.
민재가 죽으려 버둥거리는 장면을 '머니백'은 물끄러미 담아냅니다. 주인공이 엃게 빨리 죽진 않을 거란 걸 알고 봐도, '저러다 큰일나겠다' 싶은 생각이 들 만큼 길게 그 모습을 보여줍니다. 잠시 고개 숙여 신발을 비추던 카메라가 다시 고개를 들면 앞과는 다른 반전이 웃음을 줍니다. 뭐 하나 제대로 되는 게 없던 민재의 불운(?)이 그 순간마저 이어지는 거죠.
사회안전망이 닿지 않는 곳에서 절망에 빠져버린 민재의 상황을 극적으로 표현하려 했다는 설명에는 동의합니다. '웃픈' 영화의 정서와도 일면 통하는 데가 있고요.
하지만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시도하는 주인공의 모습을 그렇게 구체적으로 묘사해야 했는지는 여전히 의문입니다. 또 롱테이크로 화면 가득 담아 오래 비췄어야만 했는지도요. 모방효과 등을 차치하고 장면 자체를 보는 것만으로도 부담이 큽니다.
실제 벌어진 사건을 보도할 때 '자살'이란 단어를 쓰는 것 자체까지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문제의식과 공감대가 있는 요즘입니다. 대중영화에서 이를, 심지어 유머를 섞어 그려낼 때는 조금 더 신중했더라면 어땠을까요. 아쉬움이 남습니다.
p.s. 혹여 해당 장면이 부담될 관객을 위해 한 말씀. 촬영 당시엔 와이어 등을 동원해 안전이 확보된 상황에서 배우가 연기를 펼쳤다 하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길.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