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장호 영화감독이 "요즘 한국 영화들이 돈의 논리로 제작 돼 다양성이 없다"라고 일침했다.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극장 서울아트시네마)에서 '한국영화 100년 기념사업 경과 보고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안성기 배우와 장미희, 이장호 공동위원장 그리고 오석근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유인택 동양예술극장 대표가 참석했다.
이장호 감독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100년을 맞은 한국영화계의 세대 갈등에 대한 문제에 답했다. 이장호 감독은 "제작비가 높아지고 대기업 투자하고 기획사가 앞장서서 리드하면서 나이 많은 세대가 소외되고 있다. 필름에서 디지털 형식으로 바뀌고 모든 것이 바뀌니까 나이든 사람들의 활동이 어려워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장호 감독은 "중요한 것은 이전의 관객과 판이하게 다르다는 것이다. 젊은 관객들이 영화를 보는데 지금 젊은 관객과 젊은 감독은 예전과 완전히 다르다. 신인류라고 할 정도로 자기 주장이 강하다"라고 밝혔다.
이에 이장호 감독은 "문제점은 오직 철저히 돈의 논리로 제작하는 것이다. 수입 배급도 마찬가지다. 한국영화가 저희가 보기에 굉장히 다양성 없는, 작가 성향이 철저히 배제된 영화만 계속 만들어 지고 있다"라며 "스피디하고 폭력적이고 예전 할리우드 영화에 익숙한듯 한국 영화가 바뀌고 있다. 이후에 뒷감당 될까 하는 걱정이 된다"라고 설명했다.
이 감독은 "프랑스도 우리 나라처럼 하다가 누벨바그라는 대안이 나왔다. 우리 나라도 대안을 찾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영화 100년 기념사업 경과 보고 기자회견'에서는 한국영화 100년 기념사업 경과와 향후 계획을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서 소개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