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우 배두나가 넷플릭스 시리즈로 다시 돌아왔다. 배두나는 한국의 첫 SF드라마 '고요의 바다'에서 우주 생물학자 역을 맡아 새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고요의 바다'는 필수 자원의 고갈로 황폐해진 근미래의 지구, 특수 임무를 받고 달에 버려진 연구기지로 떠난 정예 대원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고요의 바다'는 공개 후 여러가지 평을 받고 있다. 신선한 시도에 대한 호평도 있지만 한국 첫 SF드라마라는 큰 기대감의 반작용으로 혹평도 있다.
배두나는 출연 이유를 묻는 질문에 "한국형 SF물이라 용기를 냈다. 감독님의 단편영화이자 원안인 작품을 보고 굉장히 영리한 SF물이라고 생각했다. 제가 해외에서 '클라우드 아틀라스'나 '주피터 어센딩'을 하면서 어떻게 SF물을 그려내는지 봤다. 예산차이가 어마어마한데 한국에서 가능할까 싶었다. 그런데 감독님의 단편을 보고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고, 그 안에서 내가 표현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 같아서 출연했다"라고 밝혔다.

배두나는 작품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는 것에 대해한 생각도 전했다. 그는 "완성본에 대해서 만족한다. 물론 아쉬움도 존재하지만, 어떤 배우나 작품도 완벽하게 만족할 수는 없는 것 같다. 더 잘만들 수 있었을 텐데 하는 부분도 있지만, 한정된 조건 속에서 최선의 작품을 만들었다는 만족감이 있다"라고 애정을 드러냈다. 배두나는 "제 주변에서는 사실 평가가 좋았다. 다음 편을 계속 보게 된다고 하더라. 시청자들 사이에서 여러 평가가 나오는 것을 봤다.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요즘은 자극적인 것이 많이 나오지만 '고요의 바다'는 그런 공식을 따르지 않았다. 이 작품은 고요함 속에서 소용돌이가 치는 작품이다. 제가 이 작품을 선택한 것도 긴장감 속 심리 묘사의 힘을 느꼈기 때문이다. 자극적인 것을 원한다면 안 맞을 수 있다"라고 전했다.
'고요의 바다'는 근미래, 달에 간 정예 대원들의 이야기를 그리다보니 배우들이 촬영할 때도 상상력에 의존해야 하는 부분이 많았다. 주인공으로서 그런 촬영이 힘들지는 않았을까. 배두나는 "'클라우드 아틀라스'라는 작품을 찍을 때 제일 힘든 부분이 그런 것이었다. 그린 스크린 앞에서 상상력으로 연기하는 것이 힘들었는데 여러 작품을 하면서 이런 부분이 훈련이 됐다. 이번 작품은 그렇게 힘들지 않았다. 많은 일이 발해기지 내부에서 갇혀서 일어나지 않나. CG가 오히려 거의 없어서 연기하기는 편했다"라고 밝혔다.
배두나는 힘들었던 점을 묻는 질문에 우주복을 꼽았다. 그는 "그동안 몸 쓰는 역할도 많이 했기에 그렇게 힘들다는 생각을 안했지만, 그 중 가장 힘든 것은 우주복이었다. 기본적으로 무거운 우주복을 약 7개월 동안 입고 촬영하다보니 승모근이 발달했다.(웃음). 다른 작품에서 양궁도 하고 탁구도 했다. 이정도는"이라며 "다만이번 작품은 내 감정선을 시청자들이 따라오게 해야 했기 때문에 그런 것을 세심하게 보여주려고 노력한 부분이 있다"라고 덧붙였다.

배두나는 넷플릭스 시리즈에 여러작품 출연하며 '넷플릭스의 딸'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넷플릭스 코리아 런칭 전부터 넷플릭스 '센스8'에 출연했던 배두나는 넷플릭스 코리아 첫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 '킹덤' 시리즈를 비롯해 ' 영화 '페르소나', '고요의 바다'까지 출연했다.
이에 대해 배두나는 "저는 진짜 넷플릭스와 인연이 깊다. 넷플릭스 코리아가 시작되기 전부터 함께 일을 했다. '킹덤'도 하고 '페르소나'도 하고 지금 '고요의 바다'까지 했다"라며 "제가 넷플릭스를 좋아하는 이유는 콘텐츠 그 자체에 굉장히 집중한다는 점이다. 김은희 작가님이 말씀하시기를 '돈만 주지 코멘트는 안 한다'고 하셨다. 창작의 자유를 보장하기 때문에 일 할 때 좋다"라고 밝혔다.
배두나는 넷플릭스의 변화에 대한 생각도 털어놨다. 그는 "내가 '킹덤'을 할 때만 해도 순위나 시청시간 같은 것을 밝히지 않아서 훨씬 자유로웠다. 그런데 이제 순위가 생겼더라"라며 "부담스럽다. 부담스럽기도 한데, 또 순위가 잘 나오니까 기쁘다"라고 웃었다.
한국과 해외를 오가며 활동 중인 배두나는 쉬지 않고 꾸준히 작품을 하고 있다. 배두나는 이에 대해 "촬영하는 것이 재밌다. 해외에서 활동을 많이 했지만 한국에서 작품하는 느끼는 재미는 또 다르다. 힐링이 된달까. 농담을 하고 한국 고유의 문화를 공유하는 그런 느낌이 좋다"라고 전했다.
김미화 기자 letmein@mt.co.kr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