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찬욱 감독이 Apple과 함께 돌아왔다. 유해진, 김옥빈, 박정민과 함께한 단편 영화 '일장춘몽'을 통해서다.
18일 Apple과 박찬욱 감독이 함께 한 새로운 콜라보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온라인 기자간담회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박찬욱 감독, 김우형 촬영 감독, 배우 유해진, 김옥빈, 박정민이 참석해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먼저 이날 Apple과의 콜라보를 통해 펼쳐낸 박찬욱 감독의 무협 로맨스 단편 영화 '일장춘몽'을 최초 공개했다. '일장춘몽'은 마을의 은인인 '흰담비'(김옥빈 분)를 묻어줄 관을 만들 나무를 구하기 위해 '장의사'(유해진 분)가 무덤을 파헤치고, 그 바람에 무덤의 주인인 '검객'(박정민 분)이 깨어나 자신의 관을 되찾기 위해 한바탕 소란을 벌이는 무협 로맨스 영화다.
'일장춘몽'은 '1987', '고지전', '암살'의 김우형 촬영 감독, 청룡영화상 음악상 수상자인 밴드 '이날치'의 리더 장영규 음악 감독, '스트릿 우먼 파이터'(이하 '스우파')의 모니카가 안무 감독으로 참여해 화려한 배우 및 제작진을 자랑한다. 특히 박찬욱 감독이 iPhone 13 Pro로 촬영한 작품으로 '파란만장' 이후 11년 만에 iPhone 촬영 영화에 도전하는 것으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박찬욱 감독은 "제가 2011년 아이폰4로 '파란만장'이라는 단편영화를 만든 적이 있다. 제가 동생과 함께 팀을 꾸려 단편영화를 계속 만들게 된 계기가 됐던 첫 작품"이라며 "이후에도 단편 영화를 여러 편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iPhone 13 Pro를 통해 촬영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이어 "'파란만장' 때는 단점을 장점으로 만드는 트릭을 써야 했는데 이제는 그럴 필요가 없는 수준이 됐더라"라고 감탄하면서 "단편을 하는 이유는 장편에서 시도할 수 없는 걸 마음껏 시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폰으로 찍는다고 할 때 먼저 떠오른 건 자유로움이었다"라고 말했다.
또한 '일장춘몽'이라는 제목에 대해서는 "제목 짓기가 번번이 귀찮아서 사자성어에서 적당한 것을 선택했다. 사자성어 중에서는 내용에 어울리는 것이 하나쯤이 있기 마련인데 더없이 잘 어울린다. 인생이 그저 한바탕 덧없는데 아름다운 꿈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받아들이기에 따라 아름다우나 덧없을 수도 있고, 덧없지만 아름다울 수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리틀 드러머 걸'에 이어 박찬욱 감독과 두 번째 호흡을 맞추게 된 김우형 촬영 감독은 "박찬욱 감독님의 연락을 받고 거절할 사람은 없다고 생각한다. 그 전의 작업이 좋은 기억으로 남아있는데 또 연락이 와서 영광이었다. 핸드폰으로 찍는다는 게 경쾌하고 새로운 작업일 거라고 생각했다"라고 참여 이유를 밝혔다.
이어 "보통 카메라를 움직이기 위해 큰 장비를 동원하는데 이번 영화는 아무 장비도 사용하지 않고 핸드폰을 손으로 들고 촬영했다"라며 "처음에는 아이폰 앞 쪽에 큰 일반 카메라 렌즈를 끼워서 촬영하는 걸 테스트하다가 그냥 아이폰의 카메라가 할 수 있는 걸 알아보기 시작하고, 그 과정에서 시네마틱도 발견해 아무런 장치도 없이 제품 그대로 촬영할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일장춘몽'을 통해 박찬욱 감독과 첫 호흡을 맞추게 된 유해진은 "모든 배우들이 감독님과 작업하기를 원한다. (감독님과 작업하는 게 저의 꿈 중 하나였는데 불러주셔서 감사하다"라고 밝혔다.
이어 "'나는 언제쯤 감독님과 해볼 수 있을까'하는 생각을 했는데 단편이지만 감독님이 불러주셨고 또 김옥빈 씨, 박정민 씨도 같이 한다고 하니까 흔쾌히 참여하게 됐다"라며 "광고 정도라고 생각했는데 촬영하면서 결과물이 굉장히 궁금했다. 실제로 결과물을 보고 깜짝 놀랐다"라고 감탄을 표했다.
또한 캐릭터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는 박찬욱 감독의 디렉션에 의지했다고 밝히며 "저도 마당극 같은 느낌을 많이 받았는데 우리의 전통과 '말맛'을 살리려고 노력했다. 감독님이 장, 단음 같은 것도 신경 쓰시는 등 언어에 대해 많은 애착을 가지고 계신다"라고 말했다.
박찬욱 감독은 유해진에 대해 "'공공의 적' 때 처음 발견했던 것 같다. 그때부터 비범하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타짜'는 말할 것도 없다. 계속 관심 있게 보던 배우인데 함께 일할 기회를 찾는 게 어려웠다"라며 "그동안 제가 만든 영화의 배역 중에서는 딱 맞는 캐릭터가 없었는데 이번에는 처음부터 유해진 씨를 생각하면서 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밝혔다.

이어 박정민 또한 박찬욱 감독과의 작업에 대해 '꿈같은 일'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처음 연락을 받고 굉장히 상기됐다. '띠용'하는 느낌이었다"라며 "저한테 있어서는 꿈같은 일이었고, 너무 좋아서 열심히 해보려고 노력했다"라고 밝혔다.
박찬욱 감독은 박정민에 대해 "제가 '시동'과 '변산'이라는 영화를 좋아한다. 제가 두 영화를 좋아한다고 하면 사람들이 의아해 하지만 저는 그런 영화를 좋아한다. 늘 눈여겨보고 있었고, 언젠가는 같이 작품을 할 거라고 생각했다"라고 말했고, 박정민은 "오래 건강하셨으면 좋겠다"라고 재치 있게 화답했다.

마지막으로 영화 '박쥐' 이후 박찬욱 감독과 재회한 김옥빈은 "어릴 때 함께 작업을 했는데 당시에는 촬영에 나가는 게 굉장히 즐겁고 설렜던 기억이 있다. 오랜만에 그런 기분을 느낄 수 있다는 생각에 들떴다"라며 "20대 때 만났고, 30대에 '일장춘몽'을 작업했으니까 40대에 또 하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그는 "저도 처음에는 '아이폰으로 촬영이 될까'하는 의심과 함께 연기하는 게 익숙하지 않은 방식이니까 우려가 좀 있었는데 완성된 작품을 보니까 기우였다는 생각이 들더라"라며 "현장에서 아이폰으로 촬영할 때는 거대한 카메라보다 편한 기동성을 자랑했고, 있는 듯 없는 듯한 느낌 때문에 편하게 집중할 수 있었던 것 같다"라고 장점을 덧붙였다.
김나연 기자 ny0119@mtstarnews.com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