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美 TIME"최악의 폭군 연산군이 로맨스 남주?'영리한 선택"[K-EYES]

美 TIME"최악의 폭군 연산군이 로맨스 남주?'영리한 선택"[K-EYES]

발행 :
정윤이 기자

타임 매거진이 주목한 폭군의 셰프(Bon Appetit, Your Majesty)' 역사적 배경 분석


*[K-EYES]는 K-콘텐츠와 K-컬쳐 및 K에브리씽을 바라보는 글로벌 시선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사진=tvn토일드라마 폭군의 셰프
/사진=tvn토일드라마 폭군의 셰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 매거진이 넷플릭스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한국 드라마 '폭군의 셰프'(영어제목: Bon Appetit, Your Majesty)의 역사적 배경을 분석했다.


8월 29일 타임 매거진 홈페이지에 실린 "'폭군의 셰프' 뒤에 있는 실제 역사The Real History Behind the Time Travel K-Drama Bon Appetit, Your Majesty"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케이티 버트(Kayti Burt)는 현대의 셰프가 조선시대로 떨어져 폭군과 사랑에 빠지는 이 시간여행 로맨스가 어떻게 한국 역사상 가장 잔혹한 군주 중 하나를 매력적인 로맨스 상대로 탈바꿈시켰는지 주목했다.


넷플릭스 글로벌 1위, 한국사의 재해석이 통했다


드라마는 첫 2회 공개 후 미국 톱10에 진입했고 글로벌 톱10에서는 1위를 기록했다. 임윤아가 연기한 21세기 셰프 연지영과 이채민이 연기한 조선시대 폭군 이헌 왕 사이의 운명적 사랑이 전 세계 시청자들을 사로잡았다는 평가다.


이 기사는 "잘 짜인 비극적 로맨스가 얼마나 인기를 끌 수 있는지 증명했다"며 작품의 성공을 분석했다.


가장 흥미로운 점은 남주인 이헌 왕이 실제 역사 인물인 연산군을 모델로 했다는 사실이다.


타임지는 연산군의 실제 행적을 상세히 소개했다. 어린 시절 생모가 처형당한 후 계모를 친모로 알고 자란 연산군은 즉위 초기 자신의 친모가 윤씨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친모 윤씨는 폭력적 행동으로 폐비된 후 강제 독살당했고, 연산군은 어머니의 죽음에 관련된 사람들을 모두 죽이거나 처형했다.


기사에서 소개한 연산군의 다른 만행들은 언론과 교육의 잔혹한 탄압, 성균관을 폐쇄하고 개인 유흥장으로 개조, 전국에서 수백 명의 소녀와 여성을 납치해 '기생'으로 강제 동원, 자신을 비판하는 한글 벽보가 붙자 한글 사용 자체를 금지, 불교 탄압과 사찰 폐쇄,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는 사림파를 대상으로 한 두 차례 피의 숙청 등이다. 결국 연산군은 12년간의 폭정 끝에 귀족과 관료들의 쿠데타로 폐위되고 이복동생에게 왕위를 넘긴 후 2개월 만에 유배지에서 사망했다고 기사는 소개했다.


역사적 폭군을 로맨스 상대로 만든 '영리한 선택'


/사진=tvn주말드라마 폭군의 셰프
/사진=tvn주말드라마 폭군의 셰프

버트 기자는 드라마가 주인공 이름을 '연산군'에서 '이헌'으로 바꾼 것을 "영리한 결정"이라고 평가했다.


원작 웹소설 '연산군의 셰프로 살아남기'(박국재 작)에서는 실명을 그대로 사용했지만, 넷플릭스 드라마는 가상 인물로 설정해 실제 역사와 거리를 뒀다는 것이다.


"'폭군의 셰프'는 역사 드라마를 만들려는 게 아니라 역사적 배경을 판타지 무대로 활용한 현실 도피용 로맨스를 만들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여성들의 조직적 납치나 왕실 사냥터 조성을 위한 민가 압수와 파괴 같은 특정 플롯 요소들은 실제 역사에서 가져와 생생함을 그대로 유지했다.


그는 이 작품이 조선시대라는 한국 드라마의 단골 소재를 어떻게 새롭게 활용했는지도 주목했다. '대장금'(2003)부터 '킹덤', '미스터 션샤인', '옷소매 빨간 끝동' 등 수많은 작품들이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했지만, 역사상 가장 악명 높은 군주를 로맨틱한 남주로 재탄생시킨 건 파격적 시도라는 평가다.


연산군은 1961년 영화 '연산군', 2005년 '왕의 남자', 2015년 '간신' 등에서 이미 여러 차례 다뤄졌지만 모두 악역이었다. 이번에는 처음으로 로맨스의 주인공이 됐다.


이 기사는 "역사적 사실과 현대적 로맨스 판타지 사이의 절묘한 균형"이 작품의 성공 비결이라며, 한국 드라마가 역사를 어떻게 창의적으로 재해석하는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결론지었다.



추천 기사

연예-영화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영화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