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77년 밴드 산울림으로 데뷔 후 가수, 연기자, DJ, 작가 등 꾸준한 활동을 해오고 있는 김창완이 데뷔 37년 만에 솔로 앨범 '문'(門)을 발표한다.
소속사 이파리엔터테이니움은 12일 김창완의 솔로 앨범 발표를 전하고 "'문'은 1983년 '기타가 있는 수필' 이후 37년 만에 발표하는 김창완의 솔로 앨범으로 기타와 보컬을 중심으로 악기 사용을 최소화한 구성의 곡들로 이뤄졌다"라고 전했다.
김창완은 "'수요 동화' 공연이 끝나고 몇 개월이 지나도록 관객을 대할 수 없는 분리불안은 이 앨범 작업에 매진하게 된 원동력"이라며 "어찌 보면 작금의 사태들이 소중한 것에 대한 깨우침을 갖게 하는 시간이었을 수도 있고 무심히 지내던 일상의 소중함을 다시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환경이 그렇다보니 무표정한 시간과 따뜻한 사랑에 대한 노래가 많다"고 앨범 작업 배경에 대해 밝혔다.
'문'에는 어쿠스틱한 기타 선율과 최소한의 악기 편성의 곡 11곡이 수록됐다.
타이틀 곡 '노인의 벤치'는 읊조리는 듯 노래하는 저음의 보컬이 돋보이는 곡. 한편의 단편 영화를 본 듯 쓸쓸한 여운을 남긴다.
싱글로도 발표됐던 '시간'은 김창완이 청춘에게 들려주고 싶은 사랑에 관한 내용의 곡으로 반도네온 선율과 내레이션으로 어우러진 장편 서사시 같은 곡이다.
이외에도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이들에게 전하는 '이 말을 하고 싶었어요', '먼길'은 따뜻한 위로를 담았으며 부모님에 대한 연민 어린 시선의 곡 '엄마, 사랑해요', '자장가', '이제야 보이네', '보고 싶어'는 가족의 존재가 얼마나 감사한가를 새삼 느끼게 한다. 또한 '글씨나무', '옥수수 두 개에 이천원' 등 김창완 특유의 동심과 위트있는 가사와 중독성 있는 멜로디 역시 시선을 모을 것 같다.
김창완은 이번 새 앨범에 대해 아래와 같이 소회를 밝혔다.
"앨범 작업을 하면서 선명하게 떠오른 인상이 있습니다. 미래로 갈 수 있는 시간의 문도 지금이고 과거를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의 문도 현재라는 생각입니다. 이번 앨범에는 돌아가신 아버지를 그린다든지 막내에 대한 회한이라든지 이런 개인사적인 것들이 은근히 녹아있어요. 가사라는 껍질을 쓰고 나온 것도 있고 아련하게 추억에 젖어서 나름의 그리움을 담아낸 곡도 있습니다. 어느 날 밤 문득 일어나 앞부분을 쓰고 또 어느 날 새벽 불현듯 떠오른 멜로디가 간주로 완성되기도 하고. 첫 번째 수록곡인 '엄마, 사랑해요'는 연주곡인데 그 곡의 간주곡은 손 연습하듯 하는 연주예요. 어느 날 이른 새벽에 일어났는데 엄마 생각이 났습니다. 엄마는 매일 아침마다 침대 위에서 체조를 한다는데 나의 루틴은 뭔가 생각하며 만든 간주예요. 그렇듯 곳곳에 그런 게 묻어 있어서 나름대로는 내 일상과 지금의 처지와 그동안 겪었던 에피소드, 이야기 등등이 많이 녹아있는 앨범이라 애정이 많이 가요.
앨범을 발표하며 제일 우려했던 것은 내가 혹시 노인성 기우에 빠져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것입니다. 혹시나 주장이 강하게 들린다면 내용의 ‘옳고 그름’을 떠나 제가 아직 덜 다듬어진 것이고 그 부분은 앞으로 더 다듬어 나가야 할 숙제라고 생각합니다. 곡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도 거친 부분이 없지 않아요. 순식간에 한 작업이라 작품 자체로 보면 더 다듬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개칠 안한 그림이라 생각하고 진심을 담아 '지금이 얼마나 중요한가! 지금을 살자!'는 마음으로 발표하게 됐습니다."
김창완에게 시간은 주어진 삶의 모든 것이라고 한다. 김창완은 "속히 공연장에서 만나길 기대합니다"라고 희망을 전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