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운대 엘시티 사업과 관련해 회삿돈을 빼돌린 후 잠적했던 이영복(66) 회장이 체포된 후 부산지검으로 압송됐다.
뉴스1의 11일자 보도에 따르면, 해운대 엘시티 사업과 관련해 500억원 이상의 회삿돈을 빼돌린 후 잠적한 엘시티(LCT) 시행사 실소유주 이영복 회장은 10일 오후 9시께 경찰에 검거됐다.
이에 부산지검 엘시티 비리 수사팀(팀장 임관혁 부장검사) 수사관이 서울로 급파됐고, 이영복 회장과 함께 부산으로 내려왔다. 11일 오전 3시 20분경 부산지검에 도착했다. 이영복 회장은 취재진의 질문에 "검찰조사에 성실히 답변하겠다"라고 말했다.
부산지검 엘시티 비리 수사팀은 이영복 회장을 데리고 곧바로 10층으로 올라가 10여분 가량 면담한뒤 곧바로 부산구치소로 이송했다.
임관혁 부장검사는 "오늘은 시각이 늦어 본격적인 조사는 어렵고, 점심 이후 이 회장을 검찰로 소환해 엘시티 시행사인 청안건설의 500억원대 비자금 조성 혐의 및 용처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검찰은 빠르면 오후 6시 이전에 구속영장을 청구할 계획이다.
전날 이영복 회장은 변호사를 통해 부산지검 동부지청에 자수서를 제출하고 가족들과 함께 차량으로 서울에서 부산으로 오던 중 충주 부근에서 심경에 변화가 생겨 서울로 다시 차를 돌렸다. 이에 이영복 회장의 가족들이 경찰에 신고했고, 경찰이 이영복 회장을 검거했다.
검찰은 "이영복 회장이 처음에는 가족의 권유로 자수를 하러 부산으로 오던 중 갑자기 마음을 바꿔 서울로 간 것이고, 이후 가족들의 경찰 신고로 이 회장이 붙잡혔기 때문에 자수감경을 인정받을 수 없다"고 말했다.
당초 지난 8월경 부산지검 동부지청이 엘시티 비리 수사와 관련해 이 회장을 소환하려고 했지만 이 회장은 종적을 감춘 뒤 수행비서 장모씨(41)의 도움을 받아 3개월가량 서울에 은신해 있었다.
검찰은 최근 엘시티 분양대행사, 분양사무실, 시행사 홍보본부장, 분양대행사 대표 자택, 부산시청, 부산도시공사, 해운대구의회, 해운대구청에 수사관들을 보내 압수수색을 실시해 엘시티 분양, 회계 관련 서류 및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고 현재 분석중에 있다.
검거된 이영복 회장은 1998년 부산판 수서사건이라 불리는 부산 다대·만덕지구 택지전환 특혜의혹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당시 동방주택 사장이던 이영복 회장은 1993년부터 1996년까지 부산 사하구 다대동에 그린벨트 지역 임야 42만여㎡를 사들였고, 아파트 건립이 가능한 형질변경으로 1000억원이 넘는 시세차익을 챙겼다.
그린벨트 해제 이유가 이영복 회장이 공무원 상대로 로비했기 때문이라는 소문이 돌았고, 사건과 관련해 부산시 고위 공무원이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됐다. 검찰은 사건의 핵심 인물인 이영복 회장의 신병을 확보하려고 했지만, 이영복 회장은 잡히지 않고 2년간 도피를 하다 결국 자수하기도 했다.
이영복 회장은 검찰 수사과정에서 자신에게 뇌물을 받은 공무원 등이 누군지 일체 진술하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한편 '엘시티(LCT) 사업'은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바로 앞에 총사업비 2조7000억원을 투입해 최고층·최고급 아파트 등을 짓는 프로젝트로 오는 2019년까지 101층짜리 고급 아파트와 7성급 레지던스호텔 및 관광호텔 등 상업 시설을 건설하기로 돼 있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