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북한 석탄과 관련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정책회의에서 "이미 지난해 10월부터 북한산 석탄을 실은 두 척의 배가 우리 항구를 20차례 이상 드나들었다는 보도가 있었다. 또 국내로 반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 석탄의 양만 9000t이 넘는다"고 말했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해외 직접구매로 작은 물건 하나만 구입해도 이력이 추적되는 상황에서 누가 어떤 경로로 이 석탄을 구입했고, 최종 소비처가 어디였는지 정부는 국민이 납득할 만한 설명을 내놔야 한다. 청와대 묵인설, 관세청에 대한 함구령 등등의 소문까지 나오고 있다. 만약 정부가 진실을 은폐할 목적이었다면 이는 매우 심각한 문제다"라고 역설했다.
그는 "한반도 비핵화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에 발맞춰 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북한석탄이 우리 항구에 버젓이 들어온 것을 볼 때, 과연 우리 정부의 대북제재 방침이 실효성 있게 집행되고 있는지 국제사회로부터 의심을 받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라고 설명했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더욱이 관련 기업 및 금융회사가 최소 4곳이라고 한다. 세컨더리 보이콧에 따른 제재대상 기업이 될 수도 있는 상황에서 이들이 적극적으로 수입의사가 있었는지, 아니면 선의의 피해자인지도 정부가 가려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 석탄 수입 문제는 단순한 국내 문제가 아니고 대단히 중요한 국제 공조 문제의 상징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금처럼 청와대가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쉬쉬한다고 해서 어물쩡 넘어갈 수가 없다. 국제사회와의 신뢰가 깨진다면, 지금의 한반도 비핵화 논의 과정에서 우리 한국이 설 자리는 없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모처럼 찾아온 한반도 긴장완화 국면에서 북한 석탄 문제가 우리 정부의 그간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상황으로 변질되지 않기를 바란다. 이를 위해서는 청와대가 북한 석탄의 국내 유입에 대한 진상을 국민들께 소상히 밝히고, 긴밀한 관계 기관 간의 협의를 통해서 현명하게 대처해야 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뉴시스에 따르면 정부 관계자는 3일 "북한산 석탄을 싣고 국내에 들어 온 것으로 의심되는 선박이 기존에 알려진 리치글로리호, 스카이엔젤호 외에 3척이 더 있다. 관세청에서 조사 중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