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체육진흥공단이 발행하는 체육진흥투표권(스포츠토토) 사업의 수탁사업자인 스포츠토토코리아(STK)는 지난 8월 말 '비상경영' 1단계 조치를 단행했다. 송영웅 대표이사를 비롯한 경영진(임원)의 급여 일부를 자진 반납했다. 또 2020년 7월부터 올해 10월 현재까지 2년 남짓한 기간 무려 45명이 회사를 떠났다. 올해만 해도 퇴사자는 17명에 이른다. 지난 2년간 3조 6600억원에 달하는 체육기금을 조성하며 스포츠 발전에 기여한 스포츠토토에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문제는 STK의 영업수지 적자 때문이다. 지난 2020년 7월, 5년 기한의 스포츠토토 수탁사업자에 선정된 STK는 이후 예상치 못한 내·외부적 환경의 변화에 의해 사업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국내외 경기 파행과 사회적 분위기 위축, 물가 상승 등으로 발매액이 정체·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여기에 투표권사업 공영화 법령이 통과돼 오는 2025년 7월부터 공단이 투표권 사업을 직접 운영하게 되면서 추가 자금 조달 창구마저 차단된 상황이다.
실제 지난해의 경우 STK는 공단이 당초 승인해준 사무직 인건비(99억원)보다 37억원 많은 136억원을 지출해야 했다. 반면 '모자라는 비용은 민간사업자가 메우고 남는 비용은 공단에 반납하라'는 방식의 '위수탁세부이행조건'에 따라 스포츠단 운영비, 시스템 유지보수비 등에서 남은 자금은 모두 공단으로 귀속됐다는 게 STK의 설명이다. STK 측은 "5년간의 수탁기간 내 추가로 인건비를 부담할 경우 120억~150억원 상당의 손해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결국 STK는 공단 측에 입찰 당시 추정해 세운 5개년 비용 집행 계획을 지난 2년간의 실제 실적에 맞춰 현실화하는 '비용 계획의 재조정'을 요청했다. 그러면서 "이는 연간 약 2조원의 체육기금을 조성하는 국가사업인 투표권사업의 파행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핵심 인력의 대규모 유출이 계속될 경우 공단이 2025년부터 투표권사업을 직접 운영하는 데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공단은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다. 공단의 한 관계자는 "입찰 조건에 명시된 항목을 고친다면 경쟁 입찰자와의 형평성 논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STK와 사업발전협의체를 구성해 적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의를 진행하는 중이다. 인터넷 발매시스템 확대 허용 등 수익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