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박세웅 '6이닝 9K'+노시환 '2타점', 日 울렸다 '결승까지 한걸음'... 2-0 진땀승 [항저우 Live]

박세웅 '6이닝 9K'+노시환 '2타점', 日 울렸다 '결승까지 한걸음'... 2-0 진땀승 [항저우 Live]

발행 :

사오싱=안호근 기자
박세웅이 5일 일본과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야구 슈퍼라운드 1경기 일본전에서 위기를 넘기고 포효하고 있다.
박세웅이 5일 일본과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야구 슈퍼라운드 1경기 일본전에서 위기를 넘기고 포효하고 있다.
노시환(오른쪽)이 6회말 1사 3루에서 좌익수 희생플라이로 결승 타점을 올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노시환(오른쪽)이 6회말 1사 3루에서 좌익수 희생플라이로 결승 타점을 올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박세웅이 완벽하게 버텨냈고 김혜성과 최지훈, 노시환이 득점 공식을 작성하며 팀 승리를 합작했다. 진땀을 뺀 한일전 값진 1승을 거뒀다. 이제 결승행까지 한 걸음 남았다.


류중일 감독이 이끄는 한국 야구 대표팀은 5일(한국시간) 중국 저장성 사오싱 베이스볼&소프트볼 스포츠센터 야구장 메인 경기장(The Baseball Main Venue of Shaoxing Baseball & Softball Sports Centre)에서 열린 일본과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슈퍼라운드 1경기에서 6이닝 동안 2피안타 2볼넷 9탈삼진 무실점 호투를 펼친 박세웅과 결승 희생플라이를 날린 노시환의 활약 속 2-0으로 이겼다.


조별리그에서 대만에 0-4 패배, 1패를 안고 슈퍼라운드에 나선 한국은 일본을 물리치며 결승행 가능성을 키웠다. 한국은 6일 오후 1시 같은 장소에서 열릴 중국전을 치른다. 이날 오후 7시 30분에 열릴 중국-대만 경기에서 대만이 승리하고 한국이 중국을 잡아내면 자력으로 결승에 나선다. 일본은 2패로 탈락이 확정됐다.


다만 중국이 대만을 잡아낸다면 경우의 수가 복잡해 진다. 한국이 6일 중국을 잡아내더라도 2승 1패로 세 팀이 유불리를 따져야 한다. 승자승에선 세 팀이 맞물리기 때문에 득실차(TQB)에 따라 순위가 갈린다. 한국이 대만에 0-4로 패한 터라 상황이 좋지만은 않다. 이날 대만이 중국을 꺾어주는 게 최선의 시나리오다.


경기에 앞서 인사를 나누는 양 팀 선수단. /사진=뉴시스
경기에 앞서 인사를 나누는 양 팀 선수단. /사진=뉴시스
깜짝 선발 투수로 나선 박세웅.
깜짝 선발 투수로 나선 박세웅.

한국은 김혜성(2루수)-최지훈(중견수)-윤동희(우익수)-노시환(3루수)-문보경(1루수)-강백호(지명타자)-김주원(유격수)-김형준(포수)-김성윤(좌익수) 순으로 타순을 꾸렸다. 선발 투수는 박세웅.


반면 일본은 나카가와 히로키(2루수)-모치즈키 나오야(지명타자)-기타무라 쇼지(3루수)-사토 타츠히코(좌익수)-마루야마 마사시(1루수)-사사가와 코헤이(우익수)-스즈키 세이후(중견수)-나카무라 진(유격수)-키나미 료(포수)가 선발 라인업을 이뤘다. 카요 슈이치로가 박세웅과 선발 맞대결을 벌였다.


양 팀 모두 잠들어 있는 타선으로 고전했다. 전력 차가 큰 팀들에는 타선이 폭발했지만 각각 대만과 중국을 맞아 7안타, 2안타에 득점을 만들어내지 못했다.


그럼에도 더 큰 변수는 선발 투수였다. 한국은 문동주와 원투펀치를 이룰 것으로 보였던 곽빈이 담 증상을 호소하며 자칫 선발진을 사흘 휴식 후 등판시켜야 할 상황이었다. 그러나 류 감독은 리그에서 선발로 8승 7패 평균자책점(ERA) 3.41로 활약 중인 박세웅을 깜짝 카드로 내세웠다.


일본 선발 카토(오른쪽)가 6회 실점한 뒤 강판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일본 선발 카토(오른쪽)가 6회 실점한 뒤 강판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위기를 지워낸 박세웅(오른쪽)을 더그아웃에서 반기는 동료들. /사진=뉴시스
위기를 지워낸 박세웅(오른쪽)을 더그아웃에서 반기는 동료들. /사진=뉴시스

카요는 올 시즌 실업리그에서 11경기 42⅔이닝 동안 29피안타 1홈런 6볼넷 34탈삼진, 이닝당 주자 허용(WHIP)이 0.82로 리그 특급 투수 수준으로 활약한 투수다. 평균 시속 147㎞의 속구를 중심으로 슬라이더와 체인지업, 커브까지 고루 뿌릴 줄 아는 투수라는 평가를 받는 투수였다.


박세웅은 1회초 난조를 보였다. 첫 타자 나카가와에 볼넷에 이어 도루 허용, 1사에서 기타무라에 안타를 내줬다. 1사 1,3루 위기에서 문보경이 도우미로 나섰다. 1루 관중석 방면으로 높게 떠오른 사토의 타구를 빠르게 따라갔고 담장 바로 앞에서 깔끔하게 잡아냈다. 마루야마를 상대한 박세웅은 낙차 큰 커브를 결정구로 헛스윙 삼진을 잡아내고 스스로 불을 껐다.


한국도 일본 선발 카요 슈이치의 공에 쩔쩔맸다. 1회 볼넷을 하나 얻어냈을 뿐 3회까지 안타를 하나도 만들어내지 못했다. 노시환과 강백호, 김주원 김형준과 김혜성까지 삼진으로 돌아섰다.


4회말 최지훈이 빠른 발로 흐름을 뒤바꿔놨다. 기습번트로 상대 투수와 내야진을 흔들며 1루에 안착했고 윤동희는 번트에 실패하고도 우전 안타를 날리며 최지훈을 3루까지 보냈다. 그러나 무사 1,3루 절호의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 노시환이 시속 150㎞ 빠른 공에 타이밍을 맞추지 못하고 삼진으로 물러났다. 다음 타자는 문보경의 타석 때 윤동희가 2루 도루에 실패했다. 무사 1,3루가 순식간에 2사 3루로 바뀌었다. 문보경의 강습 타구가 카요의 몸에 맞았지만 튀어 오른 공을 침착히 잡아내며 한국의 득점 기회가 무산됐다.


5회말 강백호가 행운의 내야 안타로 출루했지만 김주원의 보내기 번트가 너무 빠르게 흘러 2루에서 선행주자가 잡히며 다시 한 번 득점 기회가 무산됐다.


박세웅이 6회초에도 다시 마운드에 섰다. 2-3-4번 타순을 차례로 삼진-삼진-유격수 땅볼로 간단히 돌려세우고 이닝을 마쳤다.


6회말 빠른 발로 2루타를 만들어내며 득점권 기회를 만든 김혜성. /사진=뉴스1
6회말 빠른 발로 2루타를 만들어내며 득점권 기회를 만든 김혜성. /사진=뉴스1
1타점 희생플라이를 날리는 노시환. /사진=뉴시스
1타점 희생플라이를 날리는 노시환. /사진=뉴시스
결승 득점을 한 김혜성(왼쪽)을 반기는 류중일 감독(오른쪽)과 김동수 코치. /사진=뉴스1
결승 득점을 한 김혜성(왼쪽)을 반기는 류중일 감독(오른쪽)과 김동수 코치. /사진=뉴스1

일본도 카요를 그대로 올렸고 첫 타자 김혜성이 호쾌한 안타를 만들어냈다. 중견수가 공을 더듬는 사이 지체 없이 2루까지 파고들었다. 최지훈이 희생번트로 1사 3루. 윤동희가 볼넷으로 출루했고 이어 노시환이 좌익수 방면 크게 뻗는 뜬공을 날리며 그 사이 3루 주자 김혜성이 홈을 파고 들었다. 1-0. 일본은 선발 카요를 강판시킨 한 방이었다.


이후 한국은 최지민을 등판시켰다. 1사에서 좌전 안타를 맞았으나 병살타로 위기를 지웠고 8회엔 이번 대회 최고의 활약을 펼치고 있는 박영현이 완벽한 투구로 2사를 만들었다. 그러나 나카가와에게 좌익수 키를 넘는 2루타를 맞았으나 모치즈키를 중견수 뜬공으로 돌려세워 동점 위기를 지워냈다.


위기 뒤 기회가 찾아왔다. 선두 타자 김혜성이 볼넷, 최지훈의 희생번트로 1사 2루 기회를 맞았고 2사에서 노시환이 추가 1타점 좌전 안타로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마지막까지 긴장을 놓을 수 없었다. 박영현이 9회에도 등판했으나 기타무라의 유격수 방면 땅볼 타구 때 김주원이 송구 실책을 범했고 사토에게 우전 안타를 맞고 무사 1,2루에 몰렸다. 이후 마루야마에게 2루수 땅볼 타구를 유도해 2루 주자를 잡아내며 1사 1,3루. 이어 병살타까지 유도하며 완벽한 세이브를 수확했다.


7회 등판해 무실점 호투를 펼친 최지민. /사진=뉴스1
7회 등판해 무실점 호투를 펼친 최지민. /사진=뉴스1

■ 프로선수 출전 역대 아시안게임 일본전 전적(총 5전 4승 1패)


▷ 1998 방콕 : 예선 13-8 승

▷ 1998 방콕 : 예선 9-2 승

▷ 1998 방콕 : 결승 13-1, 7회 콜드 승

▷ 2002 부산 : 예선 9-0 승

▷ 2006 도하 : 풀리그 7-10 패

▷ 2022 항저우 : 슈퍼라운드 2-0 승


■ 한국 야구 역대 아시안게임 성적


▷ 1994 히로시마 : 은메달, 일본 우승

▷ 1998 방콕 : 금메달

▷ 2002 부산 : 금메달

▷ 2006 도하 : 동메달, 대만 우승

▷ 2010 광저우 : 금메달

▷ 2014 인천 : 금메달

▷ 2018 자카르타-팔렘방 : 금메달


■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야구 최종 엔트리 24명(*는 와일드카드, 굵은글씨는 군필 및 면제)


▷ 감독 = 류중일

▷ 코치 = 최일언, 김동수, 장종훈, 류지현, 이종열, 정대현

▷ 투수 =고우석, 정우영(이상 LG), 박영현(KT), 원태인(삼성), 나균안, *박세웅(이상 롯데), 곽빈(두산), 문동주(한화), 장현석(마산용마고, 이상 우완), 최지민(KIA), 김영규(NC, 이상 좌완)

▷ 포수 = 김동헌(키움),김형준(NC)

▷ 내야수 =박성한(SSG), 김혜성(키움), 문보경(LG), 강백호(KT), 김주원(NC), 김지찬(삼성), 노시환(한화)

▷ 외야수 = 최지훈(SSG), *최원준(KIA),김성윤(삼성), 윤동희(롯데)


주요 기사

스포츠-야구의 인기 급상승 뉴스

스포츠-야구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