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日에 좌절 안긴 대역전 드라마, 기적의 우승 신화 쓴 韓 여자축구

日에 좌절 안긴 대역전 드라마, 기적의 우승 신화 쓴 韓 여자축구

발행 :

김명석 기자
 16일 경기 수원시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여자부 시상식에서 우승국 대한민국 여자 축구대표팀 선수들이 트로피를 들고 기뻐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16일 경기 수원시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여자부 시상식에서 우승국 대한민국 여자 축구대표팀 선수들이 트로피를 들고 기뻐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16일 경기 수원시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여자부 시상식에서 우승국 대한민국 여자 축구대표팀 선수들이 트로피를 들고 기뻐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16일 경기 수원시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여자부 시상식에서 우승국 대한민국 여자 축구대표팀 선수들이 트로피를 들고 기뻐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대한민국 여자 축구대표팀이 무려 20년 만에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풋볼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정상에 올랐다. 첫 두 경기에서 연속 무승부로 승리가 없었지만, 마지막 경기 승리로 기적 같은 대역전 우승 드라마를 썼다. 끝까지 한국의 경기를 지켜보던 일본에 좌절을 안긴 우승이기도 했다.


신상우 감독이 이끄는 여자 축구대표팀은 16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여자부 최종전에서 대만을 2-0으로 완파했다. 이날 승리로 승점 5(1승 2무)를 기록한 한국은 중국, 일본(이상 승점 5)을 제치고 당당히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 여자축구가 동아시안컵 정상에 오른 건 2005년 초대 대회 이후 20년 만이다. 한국의 첫 우승 이후 동아시안컵 여자부는 일본이 4회, 북한이 3회 우승을 각각 차지했다.


그야말로 드라마 같은 우승이었다. 앞서 한국은 1차전에서 중국과 2-2로, 2차전에선 일본과 1-1로 각각 비겼다. 중국전엔 후반 추가시간 4분, 일본전도 후반 41분에 나온 극장 동점골 덕분에 가까스로 승점 1씩 따냈다. 한국과 비긴 일본과 중국은 각각 대만을 상대로 먼저 승리를 따냈다. 16일 최종전을 앞둔 여자부 순위는 일본과 중국이 승점 4로 1~2위, 한국은 승점 2로 3위였다.


한국이 자력으로 우승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없었다. 앞서 열리는 일본-중국전에서 승패가 갈리면, 한국은 대만전 결과와 상관없이 우승할 수 없었다. 그나마 기댈 수 있는 건 일본과 중국의 무승부였다. 두 팀이 비기고, 한국이 이기면 최종 승점은 한국과 일본, 중국이 5점으로 동률을 이룰 수 있었다. 승점이 같으면 세 팀 간 상대전적 승점·골득실·다득점 순으로 순위를 결정하는 게 대회 규정이라 이를 통한 역전 우승을 노려볼 수 있었다.


다만 일본과 중국이 비기더라도, 2-2 이상 스코어가 나오면 한국은 대만을 이겨도 상대전적 다득점에서 밀려 우승에 실패하는 상황이었다. 두 팀이 1-1로 비기면 중국과 상대전적 다득점까지 같아 대회 전체 골득실을 따져야 했다. 한국 입장에서 최상의 시나리오는 두 팀이 0-0으로 비기는 것이었다. 그러면 한국은 대만을 1골 차로 이기기만 해도 우승할 수 있었다. 상대전적 다득점에서 3골로 중국(2골), 일본(1골)에 앞서기 때문이었다.


16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일본과 중국의 경기 모습. /사진=동아시아축구연맹(EAFF) 제공
16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일본과 중국의 경기 모습. /사진=동아시아축구연맹(EAFF) 제공

기적의 발판이 마련됐다. 일본과 중국이 마침 0-0으로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신상우호는 최약체 대만을 1골 차로 이기기만 해도 정상에 오를 수 있는 상황이 됐다. 반대로 대만을 상대로 무승부 이하에 그치면 일본이 우승하는 상황. 먼저 대회 일정을 모두 마친 일본 대표팀과 팬들의 시선은 오롯이 한국-대만전에 집중됐다.


후반 중반까지만 해도 일본의 우승 가능성이 점점 커졌다. 한국은 경기를 압도하고도 결정적인 기회들을 놓치면서 0의 균형이 이어졌다. 그러나 후반 25분 강채림이 얻어낸 페널티킥을 지소연이 성공시키면서 그 균형을 깼다. 후반 40분엔 김혜리와 장슬기의 합작골이 터지면서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한국은 우승에 성큼 다가서고, 일본엔 '좌절'을 안기는 순간이었다.


결국 경기는 그대로 한국의 2-0 승리로 끝났다. 이로써 한국은 중국, 일본과 함께 승점 5(1승 2무) 동률을 이뤘다. 그러나 세 팀 간 상대전적 다득점에서 가장 앞서 순위표 맨 위에 당당히 섰다. 중국과 일본이 한국의 뒤를 이었다.


한국-대만전을 마지막까지 지켜본 일본에서는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는 보도가 이어졌다. 이번 대회를 통해 여자부 3연패는 물론, 지난 2022년 대회에 이어 2회 연속 남·여 동반 우승이라는 새 역사를 눈앞에 두고 있었기에 그 아쉬움은 더욱 컸다.


일본 매체 산케이스포츠는 한국의 대만전 승리 직후 "일본이 동아시안컵 3연패 도전에 실패했다. 한국이 상대전적 다득점에서 앞서 우승을 차지했다"고 속보로 전했다. 니칸스포츠도 "일본 여자축구가 대회 3연패를 이루지 못한 채, 한국이 20년 만의 우승으로 대회 마지막을 장식했다"고 보도했다.


16일 경기 수원시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여자부 대한민국 vs 대만 경기, 2-0으로 승리하며 대회 우승을 확정한 선수들이 기뻐하고 있다. /사진=뉴시
16일 경기 수원시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여자부 대한민국 vs 대만 경기, 2-0으로 승리하며 대회 우승을 확정한 선수들이 기뻐하고 있다. /사진=뉴시
 16일 경기 수원시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여자부 시상식에서 우승국 대한민국 여자 축구대표팀 선수들이 트로피를 들고 기뻐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16일 경기 수원시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여자부 시상식에서 우승국 대한민국 여자 축구대표팀 선수들이 트로피를 들고 기뻐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주요 기사

스포츠-축구의 인기 급상승 뉴스

스포츠-축구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