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견배우 박용식의 사인이 유비저 균 감염에 의한 패혈증으로 드러나면서 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 박용식은 지난 5월 영화 촬영을 위해 약 1달간 캄보디아을 방문했다 귀국 후 전신무력감, 발열, 배뇨 곤란 등의 증상으로 치료를 받다 지난 2일 패혈증으로 숨을 거뒀다. 향년 67세.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고인의 사인이 유비저(Melioidosis, 類鼻疽)라고 밝혔다. 2010년 법정감염병 지정 이후 3명의 감염자가 발생했으며, 고 박용식이 첫번째 사망 사례다.
이들에 따르면 유비저는 동남아시아(태국 북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미얀마, 베트남, 홍콩, 캄보디아, 대만, 라오스 등), 호주 북부지역 등 열대 및 아열대지방의 토양과 물 속에 퍼져 있는 균의 일종이다.
주로 호흡기와 피부상처를 통해 감염된다. 잠복기는 수일에서 수년까지 다양하나 주로 1~21일이다.
예방 백신이 없는데다 치사율이 40%에 달하며 각종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적극적인 예방 조처가 필요하다. 동남아시아 및 호주 북부지역을 여행하는 경우에는 흙을 만지거나 고인 물을 마시는 것을 피해야 한다. 또 피부열상, 찰과상 또는 화상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치료해야 한다.
감염되면 장기에 농양(고름집)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수의 환자들이 중증 폐렴과 패혈증을 동반하는 급성 경과를 나타낸다. 특히 당뇨병, 간질환자, 신장질환자, 면역 저하자 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해외유입이 아닌 국내에서의 환자 발생은 보고된 바 없으며, 사람 간 전파가 극히 드물기 때문에 진단 후 환자격리는 필요하지 않다고 질병관리본부 측은 전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