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특별귀화 인요한 교수의 남다른 韓사랑.."DJ 노벨상감"

특별귀화 인요한 교수의 남다른 韓사랑.."DJ 노벨상감"

발행 :

전형화 기자
'대화의 희열'에 출연한 인요한 교수/사진제공=KBS
'대화의 희열'에 출연한 인요한 교수/사진제공=KBS


대한민국 특별 귀화 1호인 인요한 연세대 교수가 '대화의 희열'에 출연해 한국에 대한 남다른 사연을 소개했다.


인요한 굣는 29일 방송된 KBS 2TV '대화의 희열'에 게스트로 출연했다. 인요한 교수는 대한민국 최초 특별귀화자이자, 의사 국가고시에 최초로 합격한 외국인이다. 그는 4대에 걸쳐 한국의 교육과 복지, 의료 분야에 공헌해 한국 국적을 취득했다. 한국형 앰뷸런스를 만든 장본인이기도 하다.


인요한 교수는 교통사고를 당한 그의 아버지가 병원으로 이송 중 세상을 떠난 아픔을 겪었다. 인 교수는 평생 한국에 헌신한 그의 아버지가 장례식장에서 지인에게 "한국인처럼 살았고, 한국인처럼 죽었네"라는 소리를 들었다. 이에 아버지 같은 죽음이 없길 바라는 마음에 아버지의 미국 지인들에게 받은 돈으로 앰뷸런스를 구입하려 했다. 당시 한국에는 앰뷸런스가 없었다. 하지만 돈이 턱없이 부족하자 그는 15인승 승합차를 개조해 한국형 앰뷸런스를 제작했다.


그는 아버지 죽음 이후 한국을 떠나고 싶지 않았냐는 질문에 "형제 중 몇명은 떠나고 싶어했다"면서도 "신성한 보복이었다"고 토로했다. 아버지의 죽음 때문에 앰뷸런스를 만들게 됐고, 그 덕에 한국에서 허망한 죽음이 줄어든 것에 보람을 느꼈다는 것.


인요한 교수는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시민군과 외신기자들 사이에서 통역을 했던 일화도 소개했다. 그는 당시 정부가 광주 시민군을 제압한 사실을 알고 "마음이 복잡했다"고 토로했다. 그는 김대중 대통령이 당선되기 전 만난 사실도 밝혔다.


인요한 교수는 당시 김대중 대통령에게 전두환 대통령에 대해 묻자 김 대통령이 "보복이 도움이 되냐. 뭐 얻는 게 있냐. 보복하면 안 된다"고 했다는 일화를 공개했다. 이어 김대중 대통령이 만델라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했다고 밝혔다. 이후 그는 김대중 대통령을 치료한 인연으로 취임식에 초대받았다.


인요한 교수는 "취임식에 전두환 대통령이 있더라. 그 모습을 보면서 말만 만델라가 아니라 노벨상 감이라고 생각했다. 이 민족은 희망이 있다고 생각했다. 용서와 화해를 느꼈다"고 말했다.


인 교수는 박근혜 전 대통령 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은 것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당시 새누리당에서 찾아왔다. 난 당에는 가입 안 한다고 했다. 당시 그쪽에서 동서화합, 다문화 가정, 남북 관계를 도와달라고 하더라. 보수야말로 북한에 대해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결핵 때문에 29번 북한을 방문한 경험이 도움이 되고자 했다고 말했다. 인요한 교수는 "오해를 많이 받았다. 북한에서는 CIA로, 광주 항쟁 이후는 빨갱이로 오해 받았다. 내 일생은 오해 덩어리"라고 밝혔다. 이어 "지금도 박 전 대통령을 지지했다고 욕하는 사람도 있다"며 "보건에는 좌도 우도 없다"고 덧붙였다.


인요한 교수는 "이념과 사상을 뛰어넘고 결과를 내고 싶었지만 인도적 지원에 대해 실패했다. 북핵 문제가 불거지고 대북 지원 정책은 인기가 없어지더라. 오만하고 교만한 생각이었다. 계산 착오다. 이제 현 정권이 가까워서 교류가 직접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주요 기사

    연예-방송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방송의 최신 뉴스